논문 상세보기

전문경영자에서 가족경영자로의 최고경영자승계에 대한 연구 - 사외이사와 가족임원의 기능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tecedent Variables of CEO Succession from Professional CEO to Family CEO - Focusing on the Role of Outside Director and Family Member in BOD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397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7.24.4.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최고경영자의 승계(CEO succession)는 기업 활동의 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와 같은 최고경영자승계는 최고경영자의 유형을 어떻게 구분하느냐에 따라 여러 형태를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고경영자의 유형을 전문경영자(professional CEO)와 가족경영자(family CEO)로 구분하고 전임과 후임 최고경영자를 짝지어 전문경영자에서 가족경영자로의 최고경영자승계(P-F승계)에 초점을 맞춘다. 기업 경영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기대할 수 있는 전문경영자에서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는 P-F승계가 일어나는 원인에 대하여 고찰한다. 최고경영자의 전문적인 경영지식이나 경영능력의 측면이 아니라 대리인문제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대리인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 기대되는 가족경영자로의 P-F승계는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상의 내부통제메커니즘(internal control mechanism)이 약한 기업에서 발생하기 쉬운 현상으로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사외이사(outside director)비율이 낮을수록 P-F승계가 많 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한국기업들의 대표적인 특징인 소유와 경영이 철저하게 분리되지 않 았다는 상황에서, 사외이사제도 외에도 이와 같은 내부통제메커니즘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연구된 가족 임원(family member in BOD)이 이사회에 존재하지 않을수록 P-F승계가 많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증결과 P-F승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서 가족임원의 존재 유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소유와 경영이 철저하게 분리되어있지 않은 한국기업들의 상황에서는, 소유와 경영이 철저하게 분리되어 있는 상황을 전제하는 대리인이론에 입각한 사외이사제도의 영향보다는 지배주주일가 가족구성원의 이 사회 내 존재 유무가 P-F승계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CEO succession is a key issue which influences every aspects of firm activities. A type of CEO succession can be variously classified according to a lot of criteria by which CEO type is classified. In this paper, we classified CEO type according to professional CEO and family CEO and focused on the CEO succession from professional CEO to family CEO(P-F succession). We investigate antecedent variables of P-F succession which implies abandonment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capability of professional CEO. From agency theory perspective, however, professional CEO is apt to cause agency problem more seriously than family CEO. Thus, we can expect that P-F succession can occur more frequently when internal control mechanism is not firmly devised. We hypothesized that P-F succession will occur more frequently when outside director ratio is low. Meanwhile, family member in BOD has been researched that he/she plays a role of internal control mechanism in Korea wher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 firm is not thoroughly separated. Therefor, we hypothesized that P-F succession will occur more frequently when family member is not in BOD. Empirical results suggested that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of P-F succession is family member in BOD, not outside director ratio. It implies that family member in BOD works as an internal control mechanism in Korea, rather than agency theory-based control mechanism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최고경영자승계
  2. 사외이사와 가족임원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변수의 측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해석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남윤성(동아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 | Nam, Yoon 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