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베니스 비엔날레를 통해서 본 한국미술의 세계화와 코스모폴리타니즘 KCI 등재

Globalization and Cosmopolitanism of Korean Art in the Context of the Venice Bienna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591
  • DOIhttps://doi.org/10.15597/jksmi.25083538.2017.24.0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미술이론과 현장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한국미술이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rt Theories)
초록

이 논문은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설립과 이후의 맥락을 고찰하며 한국관이 한국현대미술 과 세계미술의 공감대 형성과 문화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의 확산의 장으로 구축된 과정을 살펴 본다. 한국미술계의 염원과 백남준의 적극적 개입으로 1995년 출범한 한국관이 1990년대 글로 벌 미술계의 변화와 베니스 비엔날레의 탈중심화 기조 속에서 한국미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 여 광주비엔날레의 설립과 이어진 국내 비엔날레 확산, 글로벌 미술의 포용뿐만 아니라 예술가 의 초국가적 활동과 초문화적 가치 수용으로 이어졌음을 밝힌다. 특히 그동안 한국미술의 주요 논리였던 민족주의와 지역성의 문제를 넘어 타문화와 소통하는 예술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의 가 치를 수용하며 보편적인 ‘현대미술’을 지향하기 시작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Initiated by leading Korean artists and Nam June Paik, the Korean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acted as bridge between Korean contemporary and global arts. Built in 1995 during the centennial of the Biennale it represented the binaries of decentralization of the main event as well as the globalization of the art world.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the Venice Biennale’s Korean Pavilion venue in three parts. First, it implemented the idea of a large-scale biennial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wangju Biennale. Second, the Pavilion gradually became a showcase of young, experimental, Korean national and expatriate artists (Jheon Soo-cheon, Kang Ik-Jung and Lee Bul) who by winning a series of prizes promoted the idea of transcultural contemporary art in Korea. Third, the newly-emerged artists, influenced by Paik, shared the values of cosmopolitanism of art and art community, shying away from the emphasis of the ideas of 'Korean-ness.’

목차
Ⅰ. 서론: 베니스 비엔날레와 한국미술
 Ⅱ. 베니스 비엔날레 국가관의 의미와 한국관 개막
 Ⅲ. 베니스 비엔날레와 한국미술의 세계화그리고 코스모폴리타니즘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양은희(숙명여자대학교(Sookmyung Women's University)) | Yang, Eun 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