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혁신중개인과의 관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with Innovation Intermediaries on Firm’s Performance: Focusing on the Absorptive Capacity’ Mediating Effe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9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국문초록:본 논문에서는 지역혁신체제 및 혁신클러스터에서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주요 주체로서의 혁신중개인과 기업의 흡수역량 및 성과 간의 연계성을 기업 차원에서 탐구한다.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결과, 기업이 활용하는 혁신중개인과의 관 계는 기업의 흡수역량과 혁신 및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유의하게 미치며, 흡수역량은 이 과정에서 강력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중개인이 기업의 혁신과정 에서 내부 활동을 대신할 수 있는 대체자라기보다는 보완재의 역할이 크다는 증거를 의미한 다.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과정에서 흡수역량의 선행요인으로서 혁신중개인의 역할과 중요 성에 대한 이해에 기여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action between innovation intermediaries and firms‘ absorptive capacities and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innovation cluster.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for drawing two research questions by examining firms in Daedeok Innopolis. First, do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and innovation intermediar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bsorptive capacity and performance of the firm? Second, does absorptive capac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intermediaries and performance of the firm? According to our analysis, innovation intermediar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s’ absorptive capacity, as well as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of firms. Also the absorptive capacity plays a significant mediator role in this intermediation process. This paper implies that the firms could expand opportunities and build competitive advantage by fully understanding the innovation proces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innovation intermediaries and firms in this innovation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혁신중개인
  2. 흡수역량
  3. 선행연구
 Ⅲ.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1. 연구모형
  2. 연구 가설
  4.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연구 방법
   4.1 혁신중개인과의 관계에 대한 측정방법
   4.2 흡수역량의 측정방법
   4.3 기업 성과의 측정방법
   4.4 통제변수
   4.5 분석 방법
 Ⅳ. 실증 분석
  1. 자료의 수집
  2. 분석대상의 특징
  3.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3.1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3.2 단일응답자 편차(single respondent bias)의 검증
   3.3 상관분석
  4. 연구가설 검정
 Ⅴ. 결론
  1. 시사점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참고문헌
저자
  • 이선제(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책임연구원 /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박사과정) | Sunje Lee
  • 정선양(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교수) | Sunyang J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