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업치료 임상실습교육 현황에 대한 연구 KCI 등재

The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Practice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9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국내 작업치료 임상실습교육의 운영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고, 임상실습교육자의 관점에서 살펴 본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임상실습교육자 99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9일∼5월 17일까지 이메일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 임상실습교육기관 형태로는 재활병원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임상실습교육 내용은 임무 중 중 재계획에서 실습생의 직접 수행이 가장 많았다. 학교차원에서 임상실습의 문제점은 학생들의 기초학력 및 전공필수 지식의 부족, 임상실습교육 내용의 가이드라인 부재에서 높게 나타났고 실습기관차원에서는 실습생 지도를 위한 시간 부족, 기관 규정상 실제 평가와 치료 실습 제공이 어려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교차원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은 협회수준에서 임상실습 교육내용의 가이드라인 제시, 임상실습 유 형에 따라 학생들의 전공 필수 역량제시 하는 것에서 높게 나타났다. 실습기관 차원에서는 협회수준에서 실습교육자를 위한 정규적인 교육과 임상실습교육자간의 모임 활성화, 임상실습교육자에게 일정시간에 대한 보수교육 면제(대체)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현재 작업치료임상실습교육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알아보았고, 앞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기초로 대한작업치료사협회와 대학, 임상실습기관의 조율을 통한 다양한 제도마련을 기대해본다.

Objective: Aim is to try to examine the solution the problems in the view of clinical practice educator after trying to investigating the point of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solutions of th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in Korea.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e-mail and smart phone from 99 clinical practice educators from May 9 to May 17. 2016 Results: The rehabilitation hospital was the highest ratio in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ype. The problems of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form the viewpoint the clinical practice educator were high in the lack of basic academic ability and essential knowledge of the students. The solutions were high in suggestion guideline of contents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t the level association and the students' essential competency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level. The problems of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form the viewpoint the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were high in the lack of time for tutoring the students and limitation on evaluation and therapy training according to institutional regulations. The solutions were high in activation of regular meeting and education for clinical practice educators at the association level and exemption (substitute) from regular time for the clinical practice educator.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and suggested various solutions to be solv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연구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임상실습기관의 특성
  2. 임상실습교육 운영
  3. 임상실습교육의 방법
  4. 임상실습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경미(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care 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Kim, Kyeong-Mi
  • 장기연(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osong University) | Chang, Ki-Yeon
  • 이향숙(대전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Health Institute of Technology) | Lee, Hyang-Sook
  • 장문영(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care 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Chang, Moon-Young
  • 김환(대구대학교 작업치료학과,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gu University) | Kim, Hwan
  • 홍은경(신성대학교 작업치료과,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hinsung University) | Hong, Eun-Kyo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