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동휠체어 착석기능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KCI 등재

Intervention of Powered Seating Function : A Systematic Re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9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의 중재 목적, 방법 그리고 결과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작업치료 사들에게 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전동휠체어 급여제도 개선을 위해 전동휠체어 착석기능의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7년 이후부터 2016년까지 데이터베이스 ScienceDirect, ProQuest에서 주요검색어 “Power wheelchair user” OR “Handicapped with people” AND “Tilt-in-space” OR “Backrest recline” OR “Elevating legrest” OR “Seat elevator” OR “Power Seat Function(PSF)”을 사용하여 최종적으 로 14개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은 휠체어 내에서의 편안함, 착석압력 감소 및 휠체어 사용자들의 안정적인 일 상생활수행을 위해 중재되었다. 중재 목적에 따라 틸팅과 등받이 리클라인의 각도 조합이 달라지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전동휠체어 착석기능 중 틸트와 등받이 리클라인은 자세조절을 스스로 할 수 없는 휠체 어 사용자의 엉덩뼈 및 꼬리뼈에 가해지는 착석압력 감소에 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전동휠체어 착석기능 중재 목적, 방법 그리고 결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착 석기능에 대한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추후에는 다양한 환경에 속한 여러 대상자들에게 중재를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가 사용자의 사회참여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작업치료적 관점의 연 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rpose, method, and effectiveness of powered seating function intervention, and to share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ed seating function to occupational therapist and to suggest the usefulness of the powered seating function to improve wheelchair payment systems. Methods: This research searched for studies published in ScienceDirect and ProQuest databases from 2007 to 2016. The key words were “Power wheelchair user” OR “Handicapped with people” AND “Tilt-in-space” OR “Backrest recline” OR “Elevating legrest” OR “Seat elevator” OR “Power Seat Function(PSF)” Results: The PSF intervention was provided for the comfort and stability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performance of wheelchair users, and reduced the seating pressur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intervention, the angle of the tiling and backrest reclining were combined. The tilt and reclining seating function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sitting pressure on the ischial and coccygeal areas of wheelchair users who cannot achieve postural control. Conclusions: In the future, a study from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should be carried out on how the results obtained by applying intervention to various subject in the environment affect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wheelchair us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검색방법 및 분석대상
  2. 분석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Ⅲ. 연구 결과
  1. 분석대상 연구의 근거 수준
  2. 연구 분석
  3. 분석대상 연구의 특징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저자
  • 우지희(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Woo, Ji-Hee
  • 김종배(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Kim, Jong-Ba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