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증강현실 토이게임의 개발 특징에 따른 요소 분석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Elements Analysis according for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Augmented Reality Toy-Gam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922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증강현실 토이게임은 이런 증강현실 게임의 개념 내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게임 장르의 일종으 로, 현실세계의 완구를 이용해서 게임을 진행하는 콘텐츠 혹은 하드웨어를 부르는 용어이다. 본 연 구는 이런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토이게임 개발에 관한 모델을 위한 요소를 분석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른 게임과 다르게 나타나는 토이 게임의 세 가지 특징을 기존 관련 연구를 기반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선정한 요소들을 증강현실 토이게임을 개발할 때 고려할 중요 요소들을 도출했다. 도출한 요소들의 개발요소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진행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방법으로 분석해서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일부 문항을 제외하고 변수 선정의 합당한 결 과가 나왔으며 요소다차원척도법으로 분류해 본 결과 군집분석에서 합당한 것으로 분류되었다.

The augmented reality toy-game is a kind of new game genre that can be seen within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games, and it is a term to refer to the content or hardware that plays the game using the toy of the real worl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lements for the model of toy-game development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This study analyzed three characteristics of toy game which are different from other games based on existing related research. and have selected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augmented reality toy-gam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the development elements derived, and the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the factors derived using an exploratory analysis method. As a result, it showed a reasonable outcome of the selection of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some of the questions, and the classification results of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s were also classified as reasonable in the clustering analyses.

목차
1. 서 론
 2. 관련연구
  2.1 증강현실 토이게임의 특징 연구
  2.2 증강현실 토이게임의 증강현실콘텐츠 특징 연구
  2.3 증강현실 토이게임의 게임콘텐츠 특징 연구
 3.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3.1 연구가설
   3.1.1 증강현실 토이게임 척도
   3.1.2 증강현실 척도
   3.1.3 게임 척도
  3.2 설문 문항 구성
   3.2.1 증강현실 토이게임 척도에 따른 조작적 정의
   3.2.2 증강현실 척도에 따른 조작적 정의
   3.2.3 게임 척도에 따른 조작적 정의
   3.2.4 설문문항 구성
 4. 조사 절차 및 연구 결과
  4.1 인류통계학적 특징
  4.2 측정모형에 대한 검증
  4.3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송현주(숭의여자대학 디지털미디, Dept. of Digital Media, SoongEui Women's College) | Hyun-Joo Song
  • 노해선(상명대학교 ICT융합대학 게임학과, Dept. of Game Design & Development, College of ICT Convergence, Sangmyung Univ.) | Hae-Sun No
  • 이대웅(상명대학교 대학원 게임학과, Dept. of Game Studies,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 Dae-Woong Rh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