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자인 만족도 조사를 통한 치과 유니트체어 디자인 방향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of the Dental Unit Chair through the Design Satisfa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9788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7.51.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최근 의료 소비자들은 건강에 많은 수요를 보이며 이에 의료산업 분야는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특히 병원에서는 고객의 의견을 반영하며 시대의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시각적 환경 이미지 형성에서도 내·외부 환경에 변화를 고려하는 등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기기 디자인은 의료진의 효율적인 진료와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소외당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에게 있어 내원하기 싫은 병원 1순위인 치과에서 꼭 사용될 수밖에 없는 유니트체어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FGI를 실시하여 유니트체어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조사 실험단계에서 디자인만족도 평가항목을 요인분석하여 대표평가 요인으로 압축하였다. 그 후 선정된 대표요인으로 디자인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만족도 조사결과에서 나온 불만족스러운 디자인 구성요소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형용사 어휘를 이용하여 출시된 제품들의 이미지를 평가했다. 그리고 설문 조사를 통해 나온 선호하는 제품 이미지 영역과 비교, 대조하여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 분석을 통해 나온 내용을 동일한 지각도에서 서로의 영역이 어떻게 위치하는지 알아보고 향후 출시될 유니트체어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Medical consumers are showing a lot of interest in health care, and the health care industry is fiercely competing. In particular, the hospital conducts various promotions and marketing activities to reflect customers ' opinions and stay abreast of the trends. In addition, it makes considerable effort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including considering changes in the visual environment of the visual environment, considering changes in visual environment. However, medical device design, a representative of the high value-added industries, is an isolated reality, despite the fact that medical care is an important factor for effective medical car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tients. In this study, the unit chairs which are not necessarily visited by patients who do not want to visit the hospital are subject to research. First, the components were derived to determine the component of the unit chair. In addition, the design satisfaction assessment item was analyzed for the evaluation of the design satisfaction assessment item and compression factor was analyzed as a representative factor. Since then, the design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elected representative. An image of the released product was evaluated using an adjective vocabulary to suggest improvements in unsatisfactory design components from the satisfaction survey results. In addition, compa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preferred product image area through the survey, analyzed the relationship. Finally, the comparison analysis revealed how each of the areas in the same geographical map is located in the same geographical map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unit chair design to be released.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유니트체어의 이론적 배경
  2.1. 유니트체어의 이해
  2.2. 치과환자의 심리 및 영향 요인
  2.3. 유니트체어의 구성요소
 3. 조사 분석
  3.1. 대표 평가 요인 추출
  3.2. 만족도 조사
 4. 실증 분석 및 개선 방향
  4.1. 표본 설계
  4.2. 실증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위장훈(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전공) | Wi, Jang 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