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학습환경 지각과 참여간의 관계 : 다차원적 유능감, 성취목표와 정서의 다중 매개효과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arning Environment and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Multidimensional Competence, Achievement Goals, and Emo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10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시간에 지각된 학습환경과 수업참여간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유능 감, 성취목표 및 정서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조모형의 타당 도를 검증한 후에 다차원적 유능감, 성취목표, 그리고 긍정적 부정적 정서의 다중 매개효과를 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은 남녀 중학생 419명(남학생 234명, 여학생 185명)이며, 본 조사는 예비조사에 참여한 중학생들을 제외한 3개교 중학생들 가운데 학년별로 두 학급씩을 선정하여 전체 18개 학급 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질문지는 Park, J. G., & Moon, I. S. (2013)가 중학교 체육상황에서 신뢰 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Shen 등(2012)의 체육 과제참여 질문지(Task Engagement Questionnaire in Physical Education)가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학생의 지각된 유능 감과 접근-회피목표와 긍정적 정서는 지각된 학습 분위기와 수업참여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도전적이고 위협적이며 경쟁적인 학습 분위 기는 지각된 유능감과 접근-회피목표와 긍정적 정서 중에서 긍정적 정서를 통해 수업참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육시간에 긍정적인 학습환경 조성이 중학생들의 다차원적인 유능감 지각, 접근목표, 그리고 긍정적인 정서를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전략임을 시사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perceived competence, achievement goals, and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s and engagement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invariance of structural model across gender.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middle school students (N=419, 234 males, 185 fema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group analysis were calculated. Resul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s such as challenge, threat to the self, and competitiveness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perceived competence of task- self- and other-based standards, five approach-avoidance goals except task-approach goals, and positive activating emotions. the specific indirect effect of positive emotions were the biggest among the mediators.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weights and covariance residuals of the research model.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acilitating positive learning climates can subsequently lead to increase the task- self- and other-referent forms of perceived competence, approach goals, and positive emotion in physica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확인적 요인분석
  2. 다변량 분석
  3. 구조방정식모델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
저자
  • 문호준(서원대학교, Seowon University) | Moon, Ho-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