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시간 Social Distance 추적에 의한 감성 상호작용 인식 기술 개발 KCI 등재

Recognition of Emotion Interaction by Measuring Social Distance in Real Ti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20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비콘 기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Social Distance로부터 감성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였다. 인식된 상호작용은 Photoplethysmogram(PPG)로부터 추정된 심혈관 동시성과 비교하여 평가되었다. 상호작용은 Social Distance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었을 경우 인식되었으며, 심혈관 동시성은 PPG로부터 계산된 Beats Per Minute(BPM)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추정되었다. Social Distance로부터 유효한 상호작용을 인식하기 위한 유지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상호작용 대상일 때와 아닐 때의 심혈관 동시성에 대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15개 집단(집단 당 2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일상생활에서 비콘 및 PPG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도록 요청받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인식한 상호작용 대상은 더 높은 심혈관 동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효상호작용 시간은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는 11초로 결정되었다(p=.045). 결과적으로 실 공간에서의 사회관계망에 대한 실시간 측정과 평가를 할 가능성을 높였다.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 which recognizes emotional interactions from the social distance by a beacon wearable device. The recognized interaction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he cardiovascular synchrony from photoplethysmogram (PPG). The interaction was recognized when social distance wa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ardiovascular synchrony was estimated by correlation anaysis between beat per minute (BPM) from PPG. The maintenance time was determined by Mann-Whitney U test between the cardiovascular synchrony of interaction and non-interaction groups. Fifteen groups (2 persons per a group)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asked to wear the beacon and PPG wearable devices in daily lif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groups had more higher cardiovascular synchrony than non-interaction groups an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time was determined to be 11 seconds (p=.045). Consequently, the real-tim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the social network in real space was expected to be improved.

목차
1. 서론
 2. 시스템 구성
  2.1. 비콘
  2.2. PPG 센서
  2.3.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2.4. 웹 서버
 3. 연구 방법
  3.1. 피실험자
  3.2. 실험절차
  3.3. 분석 방법
 4. 결과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
  • 이현우(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 Hyunwoo Lee
  • 우진철(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 Jincheol Woo
  • 조아영(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 Ayoung Cho
  • 조영호(감성과학연구센터) | Youngho Jo*
  • 황민철(상명대학교 휴먼지능정보공학과) | Mincheol Wh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