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퍼스널 트레이닝 효과 향상을 위한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상품기획 및 디자인 방향 연구 KCI 등재

Research on Planning and Design of Smart Fitness Wear for Personal Training Improv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20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피트니스웨어가 갖추어야 할 요건과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수용 정도 및 기능 수요를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퍼스널 트레이닝 효과 향상을 지원하는 피트니스용 스마트 스포츠의류의 상품기획 및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 피트니스 트레이너를 심층 인터뷰하고 그 응답 자료에 대해 범주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범주와 13개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또한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수용 정도와 상품개발에 필요한 기능 수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보다는 운동의 관여도 및 운동관련 문화와 관련된 특성에 따라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수용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에 대한 기능 수요에 대한 차이점으로는 전문 트레이너의 경우 운동 효과의 과학적 향상에 중점을 두는 반면 일반 소비자는 운동 시 지속성을 고려한 기능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심박 센싱, 근육 활성도 센싱, 부위별 운동 동작 각도 또는 자세 센싱, 운동량 센싱 등의 기능 탑재’, ‘전문가 라인과 일반 라인별 컨셉 및 컨텐츠 개발’, ‘압박 의류 형태로 디자인’, ‘운동지역에 따른 상품개발의 차별화’ 등의 상품기획 및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roduct planning and design direction for smart fitness wear that will improve the impact of personal training based on researching the requirements of smart fitness wear and its acceptance level, as well as the functional demand.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 fitness trainers and derived five categories and thirteen keywords by analyzing the categorical data analysis using the interview data. In addition, we surveyed general consumers to measure the acceptance level of smart fitness wear and the functional demand for product develop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acceptance level of smart fitness wear generally depended o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exercise involvement and exercise-related culture rather than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 in the functional demand of smart fitness wear, the results showed that professional trainers focused on the scientific improvement of the effect of exercise while general consumers focused on the function that considers the sustainability of exercise.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product planning and design directions such as ‘mounting of heart rate sensing, muscle activity sensing, motion angle or posture sensing, and motion sensing’, ‘development of concepts and contents for expert line, ordinary line’, ‘compression wear design’, and ‘differentiation of product development according to exercise areas’.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2.1. 운동 처방과 퍼스널 트레이닝
  2.2. 스마트 스포츠웨어의 개발 및 실용화 동향
 3. 연구방법
  3.1. 전문트레이너 대상 질적연구
  3.2. 일반소비자 대상 양적연구
 4. 결과 및 논의
  4.1. 운동효과 향상을 위한 전문가 수요
  4.2. 일반 소비자의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에 대한 수용 및 수요
  4.3. 퍼스널 트레이닝 효과 향상에 필요한 전문트레이너와 일반소비자 간 생체신호 센싱  수요의 비교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정찬웅(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환경학과) | Chanwoong Jung
  • 곽용후(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환경학과) | Yonghoo Kwak
  • 박서연(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환경학과) | Seoyeon Park
  • 이주현(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 Joohyeon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