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마늘의 크기에 따른 배종 성능 분석 KCI 등재

A Factor Analysis of Garlic Metering Device for Development of a Garlic Plant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21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마늘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조미채소이지만 생산비용의 증가와 인력부족으로 재배 면적이 줄고 있다. 마늘 생산과정에서 노동력이 가장 많이 투입되는 작업은 파종작업으로 단 기간에 많은 시간과 노 력을 필요로 하는데 이런 문제점을 줄일 수 있는 마늘파종기의 개발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 구는 세 가지 마늘크기에 대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2립 파종이나 결주를 최소화 하여 점 파종을 할 수 있는 마늘파종기를 설계·제작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선별기를 통해서 마늘을 크기 별로 선별한 후 각 종자 크기에 맞는 배종 버킷을 부착하여 파종을 진행한다면 파종 성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나 타났다. 파종 성능 시험을 통해 중간 크기의 버킷을 부착하여 농가에서 종자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중간 크기의 마늘을 파종할 때 가장 낮은 결주율은 6.2%로 나타났다.

Garlic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easonal vegetables in Korea. However, the production area of garlic is decreasing due to an increase of the production cost and a shortage of manpower. The most labor-intensive work in the process of producing garlic is seeding. It needs a lot of time and effort in a short period. Therefore, development of a garlic planter is essential to reduc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manufacture garlic planter that allow for a constant interval seeding with a minimum of missing plant and 2 seed plant with 3 size of garlic. As a result, attaching suitable metering bucket and putting the each size of seed which is sorted by screening machine will make possible to increase seeding performance. Through seeding performance test showed that the lowest missing plant rate was 6.2% when planting medium sized garlic seed, most commonly used by farmers for seeds, by attaching medium buckets.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1 트랙터 부착형 마늘파종기
  2 배종장치
  3 파종장치
  4 마늘 종자
  5 배종 성능 시험
  6 파종 성능 시험
 결과 및 고찰
  1 배종 성능 분석
  2 파종 성능 분석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강태경(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Kang Tae Gyoung
  • 이상희(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Lee Sang Hee
  • 김진구(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Kim Jin Goo
  • 김영근(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Kim Young Keun
  • 최용(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Choi Yong
  • 최일수(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Choi Il Soo
  • 권영석(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Kwon Young Suk
  • 임제(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Lim J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