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계방산 목본 식생의 군집 분류 및 분포 특성 KCI 등재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Character of Distribution of Woody Vegetation in Mt. Gyebangs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21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과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계방산 일대 목본 식생의 군집 분류, 종조성, 지표종을 구명하여 계방산 일대의 생태정보 DB를 구축하는데 있다. 조사지 내에 출현한 목본식 물은 15과 33속 78종 2변종 1아종으로 조사되었으며, Chao 1과 Jack 1의 종수의 추정결과, 127개 조사 구는 계방산 일대 목본 식생을 대표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집분석 결과, 2개의 군집(A=신갈나 무군집, B=소나무-피나무군집)과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졌다. MRPP-test를 통해 군집 간에 유의차가 나타나 적절한 군집분류가 이루어 진 것으로 판단하였다(p<0.01). NMS 분석 결과 초본층 종풍부도와 고 도 간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군집 A가 군집 B에 비해 비교적 집중적인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동일한 종조성의 특징을 잘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Plexus diagram 분석 결과, 산돌배 는 난티나무, 당단풍나무, 귀룽나무 등의 수종들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mmunity classification, species composition and indicator species to set up ecological database in Mt. Gyebangsan designated as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and National Park. Tracheophytes were 15 families, 33 genera, 78 species, 2 varieties and 1 sub-species in research subject areas. As an analysis of the species estimator of Chao 1 and Jack 1, 127 survey plots could be representative of woody vegetation in Mt. Gyebang.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2 communities(A= Quercus mongolica, B= Pinus densiflora - Tilia amurensis) and 5 groups were divided by cluster analysis. Using MRPP-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mmunities indicating analysis of the appropriate group classification(p<0.01). The species richness of the herb layer and altitude were analyzed by negative relationship for NMS ordinatio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ommunity A was more intensive than that of community B. This shows well the characteristics of same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mmunity A. By analyzing plexus diagram, Pyrus ussuriensis is associated with Ulmus laciniat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Prunus padus etc.

목차
서론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구설치 및 조사방법
  결과 및 고찰
   1 종수의 추정
   2 군집 분류 및 종조성
   3 군집 내 그룹의 속성과 종조성
   4 NMS 분석 및 MRPP
  References
저자
  • 천광일(국립생태원 식물관리연구실, Division of Botanical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Kwang Il Cheon
  • 박병주(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종보전실, Baekdudaegan Biodiversity Conservation Division,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 Byeong Joo Park
  • 서홍덕(동경대학교 산림과학부, Department of Forestry Science, The University of Tokyo) | Hong Duck Sou
  • 천정화(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Divisition of Forest Ecology,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Jung Hwa Chun
  • 주성현(경북대학교 임학과, Department of Fore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Sung Hyun Joo
  • 서동진(국립생태원 식물관리연구실, Division of Botanical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Dong Jin Seo
  • 변준기(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종보전실, Baekdudaegan Biodiversity Conservation Division,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 Jun Gi Bye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