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주민 반차별정책의 사회통합효과: 이주배경 학생의 국가 자긍심을 중심으로 KCI 등재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and social integration: The effect of anti-discrimination policy on immigrant students’ national prid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4045
  • DOIhttps://doi.org/10.14328/MES.2017.9.30.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국경을 초월한 국제이주 현상이 급격하게 증대함에 따라 각국의 이주민과 그 자녀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주민 수의 증가에 맞춰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담론과 정책적 노력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주배경 학생 가운데 상당수는 사회로 부터의 차별 및 소외를 경험하며 정착 국가에 낮은 수준의 자긍심과 애착을 보이고, 적응 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가에 대한 자긍심이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 사회통합의 주요한 기제임을 고려하였을 때 미래사회의 시민으로서 성장할 이주배경 학생 의 정착 국가에 대한 낮은 자긍심은 사회통합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주민 반차별 정책은 이와 같은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일련의 정책적⋅제도적 노력이다. 본 비교정책연구는 이주민 반차별정책의 제도화 수준이 사회통합의 한 지표인 이주배경 학생 의 국가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질적으로 탐구하였다. ICCS 2009, MIPEX Ⅲ 두 자료를 활용하여 24개국의 8학년 학생 7만 3천여 명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주민 반차별정책을 높 은 수준에서 제도화하고 있을 때 학생의 이주배경 지위가 갖는 국가 자긍심에 대한 부적 효과가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민 사회통합을 위한 정 책적 노력이 이주배경 학생의 국가 자긍심을 높여 실제적으로 사회통합에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comparative policy analysis aims to examine whether an immigrant anti-discrimination policy effort that is equipped to protect and integrate immigrants may actually operate upon the reduction of the gap between immigrant and non-immigrant students in terms of their sense of national pride in their host countries. The present study posited that a relatively lower sense of national pride among immigrant students may not only result from certa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also from extensive social exclusion of the macro-level societies. Using a sample of approximately 73 thousand students selected from 24 countries, a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findings clearly indicate that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immigrant anti-discrimination policy at the country level is fairly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immigrant students’ sense of national pride. The results suggested that government efforts to formulate and enforce anti-immigrant policies for immigrant integration may work toward social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국가 자긍심과 사회통합
  2. 다문화사회에서 이주배경 학생의 국가 자긍심
  3. 이주민 반차별정책과 이주배경 학생의 사회통합
 Ⅲ. 자료 및 분석 방법
  1. 분석 자료
  2. 분석 변인
  3. 분석 모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최수빈(한양대학교, Hanyang University) | Soo-Bin Choi
  • 차윤경(한양대학교, Hanyang University) | Yun-Kyung Ch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