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중재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KCI 등재

A Systematic Review of the Intervention for Motor Skill’s Improve Applied to Pati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58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관련 중재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7년부터 2017년까지 PubMed, Google Scholar, Medline(ProQuest)을 통하여 10년간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Autism or Autistic Disorder or Asperger Syndrome or PDD-NOS AND Motor skills or Fine motor skills or Gross motor skills”를 사용하였다. 2차 분류 후, 최종적으로 총 15개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15편의 연구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연구 디자인은 두 그룹연구와 단일대상연구가 각각 6편이며, 관련 논문이 2013년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연구 분야는 작업치료와 특수체육 각각 4편이며, 중재 종류는 신체적 활동(7편)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14편의 연구에서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연구 참가자 선별에는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가 5회, 평가도구는 BOT(Bruininks-Oseretsky Test)-1(2회), BOT-2(5회)가 총 7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국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들을 조사함으로써, 국내 작업치료사들에게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에 대한 중재 및 연구를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ASD’s motor skills. Methods: Pubmed, Google scholar, Medline(ProQuest) were searched from 2007 to 2017. Key search terms were used “Autism or Autistic Disorder or Asperger Syndrome or PDD-NOS AND Motor skills or Fine motor skills or Gross motor skills”. After the secondary classification, the ex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A total of 15 papers were used in the analysis. Results: The most study design was two groups, non-randomized study and single subject study(n=6), related papers trended to be increasing since 2013. The most study area were occupational therapy(n=4) and special physical education(n=4),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intervention was physical activity(n=7). 14 studies of all reported to be effective, BOT-1, BOT-2 was the most frequently used(n=7) assessment tool in the studie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provided evidence of ASD’s intervention to domestic occupational therapist by investigating ASD’s intervention conducted oversea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자료 수집 및 분석 대상
  3. 연구의 질적 수준
  4. 연구 분석 및 제시방법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및 동향
  2.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
  3. 연구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
  4.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효과를 평가하기위해 사용된 평가도구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박호일(우리두리 아동·청소년 발달센터) | Park, Ho-Il
  • 박혜연(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ark, Hae-Yea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