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큰느타리버섯 수확 후 배지를 이용한 유기퇴비 제조 및 활용 KCI 등재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rganic compost from spent mushroom (Pleurotus eryngii) substra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58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큰느타리버섯 수확 후 배지를 이용한 유기퇴비를 제조하여 퇴비 원료로서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퇴비의 발아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오이, 무, 상추, 배추를 파종한 후 발아율과 발아지수를 측정하였으며 미강과 미생물제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이와 무의 발아지수는 전체적으로 높았으며, 상추의 경우 SMS 100%와 미강 5% 첨가구만 발아지수 70을 넘었고 배추는 미생물제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발아지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추를 이용하여 SMS 상토 제조비율과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생육시험용 상토 제조비율은 일반상토 100%와 SMS 10%, SMS 20%, SMS 30%, SMS 50%, SMS 70%, SMS 100%로 제조하여 상추묘를 이식하였다. 먼저 상토재료의 이화학성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SMS 첨가량이 높을수록 질소전량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추의 SMS 처리구와 일반상토에서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중량은 SMS 10% 43.9 g, 일반상토 46.4 g로 비슷하였으며 엽록소 함량도 SMS 10% 32.8, 일반상토 SMS 10% 32.8로 같았고 나머지도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총장에서 SMS 10% 14.6 cm, 일반상토 16.8 cm로 일반상토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spent mushroom culture-medium as raw material to produce organic compost. Mushroom culture-medium contained 2.69% nitrogen, 41.07% carbon, and 0.99% phosphoric acid. Nitrogen and carbon content in rice bran were 3.08% and 47.34%, respectively. Nitrogen, carbon, and phosphoric acid content in mushroom Pleurotus eryngii were 3.41%, 34.63%, and 1.70%, respectively. Our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egree of decay of compost produced from the substrate, used to culture King Oyster mushrooms by analyzing seed germination indexes in cucumber, radish, lettuce, and Chinese cabbage. Our results showed that compost from spent mushroom culture-medium completed the stabilization process in 4 to 6 weeks, as evaluated by the appropriate organic compost maturity point for the plantation.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버섯수확 후 배지의 안정화과정 및 작물별 발아시험
  퇴비성분 분석
  발아지수
  버섯수확 후 배지의 상토 제조비율과 생육조사
  통계 분석
 결과 및 고찰
  재료의 화학적 특성
  처리구별 발아특성
  처리구별 발아지수 검정
  버섯수확 후 배지의 상토의 제조비율과 생육조사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상화(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Sang-Hwa Lee
  • 박주리(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Ju-Ri Park
  • 오소라(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So-Ra Oh
  • 류송이(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Song-Yi Ryu
  • 류영현(경상북도농업기술원 유기농업연구소) | Young-Hyun Ryu
  • 강민구(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Min-Gu Kang
  • 이숙희(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Suk-Hee Lee
  • 조우식(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Woo-Sik J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