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모티콘 캐릭터 디자인 표현유형에 따른 선호도 조사 - 카카오톡, 라인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 KCI 등재

Preference Survey following the Emoticon Character Design Expression Type - Focusing on the emoticon of KakaoTalk and Lin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5875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8.52.1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캐릭터는 생략, 과장을 통한 인간적이고 감성적인 표현과 소비자에서 식상함을 해소하게 하는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콘텐츠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스마트기기의 메신저가 보편화되면서 디지털화 된 캐릭터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중 대표적인 디지털 캐릭터가 이모티콘이다. 이모티콘이란 다양한 구성원들에 의한 커뮤니티 공간에서 알파벳이랑 문자 외에 소통을 위한 수단의 이미지를 말한다. 현대인이 이러한 이모티콘을 선호하는 이유는 보다 감성적인 표현이 가능하고 친근함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이모티콘 중 하나가 카카오프렌즈와 라인프렌즈이다. 이러한 메신저 이모티콘은 해마다 판매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뿐 만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와 더불어 온라인 뿐 만아니라 오프라인 시장에서도 꾸준하게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개인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이모티콘 캐릭터가 지닌 표현유형 별 선호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표현유형은 표현방법과 표현소재로 나누어 이모티콘 캐릭터를 조사하고자 한다. 그 결과 선호도가 높은 캐릭터는 동물을 소재로 하는 경우가 비율이 높았으며, 복숭아나 단무지처럼 의인화된 상품의 선호도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사실적 인물와 과장된 동물은 낮은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인물이 주는 귀여움과 행동의 한계를 보여주기 때문이며 동물의 경우 너무 과장되게 하는 것도 선호도를 떨어뜨리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으로 인해 제시된 결과가 한국의 이모티콘 캐릭터 시장을 활성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e character is the humane and sentimental expression through the omission and exaggeration, which gets rid of the boredom and is one of the originative and differentiated contents. As the messenger of the smart device becomes universalized recently, the digitalized character is attracting the big popularity. The representative digital character is the emoticon. The emoticon is the image implying the expression as a means for the communication besides the alphabet and letter in the exuberant community space by various members. The reason why modern people use this emoticon is because they want to express more emotionally and express the intimacy.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emoticons is Kakao Friends and Line Friends. The sale of these messenger emoticons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y are attracting huge popularity abroad as well as Korea. The sale is increasing steadily in the offline market as well as the digital market. Hereby this thesis is aimed at surveying the preference of the expression type the emoticon character has for the effective commination at an important point in time of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expression type is divided into the expression technique and the expression material. As a result, as for the character with high preference, the ratio of making the animal material was high and the preference for the goods which were personified like the peach or pickled radish was high. However, the actual figure and the exaggerated animal showed a low figure because the figure’s cuteness and the limit of behavior were shown. It is confirmed that exaggerating the part which is necessary for the animal is the element lowering the preference. It is hoped that the result suggested by this thesis will be highly helpful in activating the Korean emoticon character market.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이모티콘 캐릭터 사례분석
 4. 표현유형 별 선호도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최보아(서울여자대학교) | Choi, Bo 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