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에서 교직 적성・인성 검사의 일반화가능도 분석 KCI 등재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32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측정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교직 적성・인성 검사 표준안이 교육대학원과 사대학에 동일하게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한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에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실시한 1396명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자료에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소속인지 또는 사범대학 소속인지를 나타내는 집단 효과가 교직 적성・인성 검사점수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 집단을 구분한 교직 적성・인성 검사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집단에 상관없이 잔차, 영역 내 문항, 피험자, 피험자와 영역의 상호 작용, 그리고 영역 크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 집단 간 각 효과의 분산 성분 차이는 잔차 및 피험자와 문항의 상호작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교육 대학원과 사범대학 집단 간 일반화가능도계수와 의존도계수를 고려한 신뢰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경험적 근거를 바탕으로 교직 적성・인성 검사 표준안은 현행대로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 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irness of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assigned t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SE) and College of Education (CE) students based on measurement traits.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scores of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of 1396 students enrolled in GSE or CE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2013 to 2017 through performing a generalizability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effect between GSE and CE was a relatively small contributor to the variability in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scores. Second, the estimated variance due to the residual was highest, followed by items nested within domains, students, interactions of students with domains, and domains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group.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for the variance components of residual and interactions of students with domains between GSE and CE students. Fourt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based on generalizability coefficients and dependability coefficients, between GSE and CE students. Hence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can be applied to both GSE and CE students form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which were based upon empirical evidence. Finally, discussions of the results were provided, followed by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일반화가능도이론
  2. 교직 적성・인성 검사 적용
 Ⅲ. 연구방법
  1. 분석 자료
  2.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분석결과
  2. 교직 적성・인성 검사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탐색
  3. 교육대학원 및 사범대학의 집단 간 분산성분 차이 분석
  4. 교육대학원 및 사범대학의 집단 간 신뢰도 차이 분석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김성연(인천대학교) | Kim, Sung-Yeun (Inche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