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 KCI 등재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Extracts from Leaves of the Quercusaliena Blume on Human Dermal Fibrobla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4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식품공 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록된 국내 산림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갈참나무 잎을 본 연구 에서 사용하였다.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갈참나무 잎을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 25, 50 및 100 μg/mL의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는 세포를 보호하여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100 μ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50 μM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 하기위해 사용한 H2-DCFDA assay에서는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 저감 활성을 확인하였고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100 μ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는 50 μM ascorbic acid와 비슷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A- β-galactosidase assay를 이용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항노화활성은 ROS 생성 억제 효과 와 유사한 경향으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 노화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 합하여 볼 때 갈참나무 잎 추출물이 hydrogen peroxide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세포 보호효과, 항산화 효 과 및 항노화 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kin of the human body occupies the largest surface area of the body and acts as a protection for the person’s internal organs. As such, the skin is a major target of oxidative stressors, and these oxidative stressors are known to contribute to skin aging over the course of time. For the most part, an antioxidant is an effective approach to utilize to prevent symptoms related to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induced aging of the ski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y of the leaves of the Quercusaliena Blume extract (QBE). In our study, we confirmed that the cell viability tested with XTT {2,3-bis(2-methoxy-4-nitro-5-sulfophenyl)-2H-tetrazolium- 5-carboxanilide innersalt} assay was not affected up to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In addition, the cell viability of HDF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as recovered from 81% to 104% after treatment with QBE, which showed the greater protective effect than that of ascorbic acid. Treatments of QBE dose-dependently inhibit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HDF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hich correlated with their protective effects on cell viability. Since QBE treatment exhibited the suppression effect of skin aging by decreasing the ROS production, QBE could be used as a not only natural anti-aging but also antioxidant resource.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실험재료 및 시약
  추출물 제조
  피부 섬유아세포 배양
  X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 평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효과 측정
  H2-DCFDA assays를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 측정
  SA-β-galactosidase assay를 이용한 세포노화 측정
  통계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
  Hydrogen peroxide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
  H2-DCFDA 염색을 통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
  SA-β-galactosidase 염색을 통한 세포노화 억제 효과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최선일(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Sun-Il Choi
  • 이종석(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Biological and Genetic Resources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Jong Seok Lee
  • 이사라(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Biological and Genetic Resources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Sarah Lee
  • 여주홍(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Biological and Genetic Resources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Joohong Yeo
  • 정태동(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Tae-Dong Jung
  • 조봉연(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Bong-Yeon Cho
  • 최승현(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Seung-Hyun Choi
  • 심완섭(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Wan-Sup Sim
  • 한웅호(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Xionggao Han
  • 이진하(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Jin-Ha Lee
  • 김종대(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Jong Dai Kim
  • 이옥환(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Ok-Hwan Lee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