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VR과 AR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사용의도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ntion to Use VR and AR in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0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에 대한 사용의도를 확장된 통합기술수용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국의 초등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VR과 AR의 교육적 사용의도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요인은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의 4개(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2)의 2개(쾌락적 동기, 비용가치), 그리고 기타 1개(지각된 위험)의 총 7개이다.
분석결과, UTAUT 요인 기반의 ‘모형2’ 에서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노력기대’ 순으로 이었으며, UTAUT2 요인 기반의 ‘모형3’에서 교사의 사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은 ‘비용가치’, ‘사회적 영향’, ‘쾌락적 동기’, ‘성과기대’ 순 이었다. 본 연구의 7개 변인이 모두 투입된 최종 모형에서는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비용가치’, ‘쾌락적 동기’, ‘사회적 영향’, ‘성과기대’, ‘지각된 위험’ 순 이었으며, 이 때 ‘지각된 위험’은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설문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과반 수 이상은 VR과 AR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하여 긍정적인 응답반응을 보였다. 때문에 VR과 AR을 미래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고려하되,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교육적 연구가 적극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using VR and AR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ing on UTAUT2(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Two hundred elev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The factors included in the study were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in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hedonic motivation', 'price value' in UTAUT2 and 'perceived risk'.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gender', 'career', 'academic background'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using VR and AR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in 'model 2',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effort expecta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chers' intention to utilize VR and AR. Third, 'price value', 'social influence', 'hedonic motivation', 'performance expectancy' demonstrated positive association with using VR and AR of teachers in 'model 3'. Finally, 'price value', 'hedonic motivation', 'social influence', 'performance expectancy' are positively related with using VR and AR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risk' is also negatively related with using them in final model. 'Effort expectancy' and 'facilitating conditions', however, were not relevant to intention to use VR and AR of teachers.
In the study, a majority of teachers had a positive view of using VR and AR, even if they expressed concern about negative effects of VR and AR in the classroom. Therefore, following study is required to introduce VR and AR to the classroom smoothly and educationally.

목차
요 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개념
  2.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교육적 활용
  3. 통합기술수용모형
  4. 지각된 위험
 I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가설설정
  2. 연구대상
  3. 주요변인 측정
  4.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1. 상관분석 및 다중공선성 분석 결과
  2.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최한올(서울왕북초등학교 교사) | Hanol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