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야외지질학습장으로써 서낭바위 일대의 지질학적 가치 KCI 등재

Geological Values of Seonangbawi Area as A Geological Field Course Si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3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다양한 지질명소가 국내에 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질명소를 야외학습장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상세한 지질조사를 통해 서낭바위 일대를 야외학습장으로 활용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서낭바위는 강원도 죽왕면 송지호해수욕장 부근에 위치하며, 송지호에서 남동쪽으로 약 1km 떨어져 있다. 서낭바위 일대는 중생대 백악기 속초화강암과 이를 부정합으로 충적층이 덮고 있는 단순한 암석분포를 보인다. 서낭바위 일대는 초중등학생과 일반인들에게 화강암 암상, 구성광물, 풍화과정뿐만 아니라, 절리(N50E/80SW, N40W/84NW), 단층(N42W/83SW), 엽리(N32E/54SE), 암맥(N35E/40SE, N26W/63SW)과 같은 지질구조와, 토르, 타포니, 그루부, 나마와 같은 지형들을 학습할 수 있는 장소이다. 그러므로 서낭바위 일대는 작은 규모의 공간에서 여러 지질 및 지형학적 현상들을 학습하고 서낭바위의 성인을 토론할 수 있는 최적의 야외학습장이다.

Even though various geological attractions are distributed domestically, the geological attractions are rarely utilized as field course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eonangbawi area as the field course site after geological investigations are carried out in detail. Seonangbawi is located about 1km southeast from Songjiho beach in Gangwon-do. Seonangbawi area is simply composed of Cretaceous Seokcho granite with the overlay of Quaternary alluvium. Geological field course in the Seonangbawi area will be useful to the student and citizen for developing the knowledge of geological phenomena, such as the formation of granite and minerals, and weathering process. In addition, the student and citizen can develop the knowledge of the geological structures, such as joint (N50E/80NW, N40W/84SW), fault (N42W/83SW), foliation (N32E/54SE), and dyke (N35E/40SE, N26W/63SW), and geographical features, such as tor, taforni, groove, and gnamma in the field. Accordingly, the Seonangbawi area is the best place to learn various geological and geographical phenomena and to discuss the origin of Seonangbawi with limited space.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서낭바위 일대 화강암
 서낭바위 일대의 지질구조
  절리
  단층
  엽리
  암맥
 서낭바위 일대의 학습프로그램
 결 론
 References
저자
  • 길영우(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Youngwoo Kil Corresponding author
  • Nguyen The Cong(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최돈원(강원도청 환경과) | Don Won Choi
  • 정우철(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Woochul Jung
  • 조윤수(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Yunsoo Jo
  • 정려진(전남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Yeojin 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