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대로명의 특성 KCI 등재

The Characteristics of Boulevard Names i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438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7.17.3.0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우리나라가 2014년부터 도로명주소 사용을 의무화했음에도, 도로명주소의 사용은 아직도 부진하다. 그와 더불어 도로명 주소 전반에 대한 연구도 미흡할 뿐만아니라, 도로명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필자는 17개 시도로부터 도로구간조서를 수령하고 대로(大路)만을 추출한 후, 우리나라 대로명 전부(前部) 요소의 특성을 새로이 분류한 지명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음절수는 2음절이 79.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어종별로는 한자어가 89.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명명 유연성과 관련하여, 행정지명이 38.9%로 가장 많았으며, 인문지명이 38.2%, 자연지명이 19.4%, 결합지명이 3.5%를 차지하였다. 행정지명의 경우, 읍・면・동 관련 지명이 48.2%, 시・군・구 관련 지명이 42.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인문지명의 경우, 역사 관련 지명이 58.2%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자연지명의 경우, 지형 관련 지명이 62.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분포(대부분 방위) 관련 지명이 37.5%를 차지하였다. 결합지명의 경우, 행정지명과 자연지명이 결합되어 명명된 경우가 7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대로명 중에는 부적절하게 명명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다수 있었는데, 이런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제반 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지명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became mandatory in South Korea since 2014, usage of this system fell short of expectations and also researches about this system are quite insufficient in general. Furthermore, researches about characteristics of road name are exceedingly insufficient. Therefore, writer got ‘road section report’ from 17 different local governments and only extracted boulevards. After that, writer analyzed characteristics of front part of boulevard names by place name category which he newly classified. As a result of analysis, boulevard names with ‘two-syllable’ had the majority with 79.2% when they were sorted by the number of syllable and ‘Sino-korean toponym’ also had the majority with 89.6% from the word type analysis. Regarding to named source, administrative sources took 38.9% as the greater part and followed by human sources with 38.2%, physical sources with 19.4% and combined sources with 3.5%. Regarding to administrative sources, most of them belonged to boulevard names related to town・township with 48.2% and boulevard names related to city・county・borough with 42.2%. Regarding to human sources, historical sources took 58.2% as the majority. Regarding to physical sources, topographical sources took 62.5% and boulevard names related to distribution (mostly direction) took 37.5%. Boulevard names, which were named based on combination of physical source and administrative source, took 70% as the majority of combined sources. Writer found lots of case which were named inappropriate among boulevard names. To prevent these problems, place name should have to be determined after being considered overall conditions.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지명 유형 분류
  1. 선행연구 고찰
  2. 새로운 지명 유형 분류 기준
 III. 대로명 특성
  1. 음절 특성
  2. 어종 특성
  3. 생성 분석
 IV. 종합고찰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송호열(서원대학교 전 총장) | Hoyul Song (Former President of Seowo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