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이용한 자연환경 우수지역 세분화 방안 KCI 등재

The Subdivision Method of Natural Environment Outstanding Areas Using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442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7.17.3.0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국토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자연환경 우수지역들을 보전하기 위해 국토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공간정보 기반의 환경성평가지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성평가지도 중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성평가지도에는 환경부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가 있다. 하지만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2016년 기준 전 국토의 47.1%가 보전 중심의 1등급 지역으로 구분하고 있어, 현실적인 정책적 활용과 국토의 이용 및 관리를 위해서는 보다 현실적인 국토의 환경성 등급 세분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평가항목 중 서식처 평가, 연결성 평가, 희귀성 평가와 연관된 평가항목들의 중첩 분석을 이용하여 자연환경 우수지역의 세부적인 등급의 도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 평가항목을 이용한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를 통해 엄정, 핵심, 완충지역으로 구분 도출하였다. 평가결과 우리나라 국토대비 엄정지역 1.16%, 핵심지역 5.64%, 완충지 역은 17.39%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 도출된 엄정지역과 핵심지역의 대표사례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지역들은 개발 발생 확률이 적은 국립공원, 휴양림, 백두대간보호지역 등의 보호지역을 포함한 산림지역들로 나타났고 도시지역 주변에 인접하거나 계곡을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자연환경이 우수 지역들 또한 도출되었다. 이러한 국토의 환경성 평가를 통해 도출된 자연환경 우수지역의 제시와 이를 이용한 국토의 관리는 난개발을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assessment map aiming to prevent exploitation of land and to preserve natural environment outstanding areas. The result of ECVAM (2016) shows that the first class of the map occupies 47.1% of the whole territory. Thus, a more practical management of each class is needed for practical use in policy making. In this study, management plans for natural environment outstanding areas were evaluated by overlaying evaluation categories of ECVAM (habitat evaluation, connectivity, rarity) to classify into three classes: Strict nature reserve, core nature reserve, and buffer area. As a result, strict, core, and buffer region each occupied 1.16%, 5.64%, 17.39% of the territory. Strict and core nature reserve located mostly in protection area such as national parks, recreational forest, and Baekdudaegan protection area. Regions near the cities or valley with high potential of development also located in the intersecting region of the three ECVAM categories. Therefore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 classified as strict, core, and buffer nature reserve areas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preventing over exploitation of land and in improving land use management.

목차
요약
 Abstract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II. 자료 및 방법론
  1.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구축 방법 및 자료
  2.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이용한 자연환경 우수지역 추출
 III. 실험결과
  1.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이용한 핵심 자연환경우수지역 도출 결과
  3. 결과 검증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근한(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박사과정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 Geunhan Kim (Ph.D. Student, Departmen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 & Researcher,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이은정(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원) | Eun Jung Lee (Researcher,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윤정호(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Jeongho Yoon (Ph.D,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정휘철(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 Huicheul Jung (Ph.D,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전철민(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교수) | Chulmin Jun (Professor, Departmen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