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간 최적화 접근을 이용한 민방위 대피시설의 커버리지 평가 KCI 등재

Evaluating Coverage of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Using a Spatial Optimization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446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7.17.3.0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사회적으로 안전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계속되는 북한의 미사일 실험은 이를 대비한 민방위 대피시설의 운영 실태를 점검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최적화 접근을 통하여 개별 대피시설 수준에서 서비스 커버리지와 수용 능력을 평가하였다. 특히 수요를 상주인구로 재현하였을 때와 현주인구로 재현하였을 때 모델링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사례지역으로 대구광역시 서구의 민방위 대피시설의 커버리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정된 민방위 대피시설에 의해서 커버되지 않은 현주인구가 상주인구에 비하여 절대적으로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많았다. 또한 기존 대피시설에 의해서 커버되지 않는 상주인구와 현주인구의 위치가 달랐다. 마지막으로 개별 대피시설에 할당된 인구를 수용가능 인구와 비교해 본 결과 대체로 시설의 규모가 클수록 실제 수용률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 최적화 접근을 통하여 도출한 정보는 재난관리를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다.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social interest in safety, the continued North Korean missile tests have inspected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This study assessed service coverage and capacity at the individual evacuation facility level using a spatial optimization approach. In particular, we analyzed how the modeling results differ when the demand is represented as de facto population as well as de jure population. The coverage of the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in Seo-gu, Daegu Metropolitan City was evaluated. As a result, the uncovered de facto population by the designated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increased not only absolutely but also relatively compared with de jure population. Also, the locations of de jure and de facto populations uncovered by the existing evacuation facilities showed a big difference. Finally, comparing the population allocated to individual evacuation facilities to the maximum accommodate population, the larger the size of the facility, the lower the actual accommodate ra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is spatial optimization approach will contribute to making disaster management more concrete and systematic.

목차
요약
 Abstract
 I. 연구 배경 및 목적
 II. 선행연구 검토
 III. 민방위 대피시설 지정 현황
 IV. 수요 인구의 재현
 V. 커버리지 평가를 위한 최적화 모형
 VI. 분석 결과
 VII.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감영(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부교수) | Kamyoung Kim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목정호(경북여자고등학교 교사) | Jungho Mok (Teacher, Gyungbuk Girl’s High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