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전통적 가치관’ 수용 양상 KCI 등재

The Aspect of Accepting Traditional Values in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1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본 논문은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전통적 가치관이 수용된 양상을 밝힌 것이다. 한문과의 성격 가운데 중요한 것이 ‘전통적 가치관’의 문제이다. 해방 이후에 우리나라는 어문정책에서 한글전용을 내세웠다. 이때 한문과를 교과로 인정하지 않고, 국어과 내에서 ‘한문과목’으로 인정했을 뿐이다. 제1, 2차 교육과정 기에 국어과 내에서 한문 과목의 전통적 가치는 ‘도의 정신을 높이기 위해서이다.’라고 했다.
제3, 4차 교육과정기는 한문 과목이 국어과로부터 독립된 시기이다. 이 시기는 유신정권과 그를 잇는 군사정권기이다. 이 시기 한문과의 전통적 가치는 ‘도의 정신을 높이기 위해서이다.’는 물론이고, ‘민족 문화’, ‘민족 정신’을 계승하는 것을 주요 성격으로 내세웠다.
제5차, 6차 교육과정기는 한문과목이 한문교과로 체계화된 시기이다. 이 시기는 한국 사회의 민주화 요구가 거셌으며, 부분적인 항쟁의 승리도 있었던 시기이다. 이 시기 한문 교과의 전통적 가치는 이전의 일방적인 ‘민족 문화와 민족 정신의 계승’이 아니라, ‘전통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발전시키려는 태도와 올바른 가치관의 확립’이라고 보다 완화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기 이후는 교육개혁의 의미를 반영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 한문 교과의 전통적 가치는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우리 생활 전반에 면면히 이어 온 전통문화를 바르게 계승하고, 창조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상에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전통적 가치관이 사회의 변화에 따라 부응하면서 바뀌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aspect of accepting traditional values in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One important th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is the issue about ‘traditional values’. After the emancipation from Japan, Korea put forwar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in the language policy. At that time, The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was not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subject, but accepted as ‘Chinese character course’ within the ‘Korean’ department
The traditional value of Chinese character course in the Korean department, in the first and second curriculum period, was noted that ‘ it is to heighten the spirit of Tao’.
The third and fourth curriculum period is the term that the Chinese course became independent from the Korean department. This period is during Yushin regime and the junta which had followed it. The traditional value of this period was that ‘ it is to heighten the spirit of Tao’, of course, and was put forward to succeed ‘national culture’, and ‘national spirit’ as main characteristics.
The fifth and sixth curriculum period is the term that the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was systemized to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matter. In this period, the demand for the democratization was strong in Korean society, there was also partial victory of the resistance. In this period, the traditional value of Chinese character subject matter was not like the former unilateral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spirit’ and further alleviated to ‘the attitude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 rightly and develop, and the establishment of right value’.
After the seventh curriculum period, it tried to reflect the meaning of education reformation. Thus, the traditional value in this period is noted that ‘ it is to understand our ancestor’s life, wisdom, idea and emotion, which are included in the various types of Chinese character materials, to foster healthy values and desirable personality, and to contribute to succeed traditional culture rightly, which has been continuously inherited in our life across the board, and develop it creatively’.
According to this, it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traditional values in the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has been changed, meeting the social chang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교육과정 시기별 전통적 가치관 서술과 수용 양상
 Ⅲ. 결 론
 參考文獻 Reference
 Abstract
저자
  • 송병렬(영남대학교 한문교육과) | Song Pyung Nyul (Yeoung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