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0만톤급 크루즈선과 컨테이너선의 적정 마루높이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roper Crown Height of GT 100,000Ton Cruise ship and DWT 100,000Ton Container shi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4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지속적인 선박 대형화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항만 내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부두의 마루높이 기준은 상향되는 것이 미래지향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 대형화로 인해 풍압면적이 커지므로 마루높이 상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크루즈선과 컨테이너선을 선정하고, 마루높이 상승에 따른 대상부두를 모델링하여 계류 및 동요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GT 10만톤급 크루즈선은 풍향이 접안 현 선수방향 45°일 때 풍속 30 kts, H₁조건에서 계류삭 허용파단력이 초과하였다. 또한 부두와 계류삭의 앙각은 마루높이 H₂에서 권고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최저 마루높이 기준을 H₃로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DWT 10만톤급 컨테이너선은 풍향이 접안현 정횡일 때 마루높이 H₁에서 Sway 운동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최저 마루높이 기준을 H₂로 조정할 필요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선박 특성을 반영한 부두 마루높이 기준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crease of risk in port due to the increase in ship size and sea level rises, the standard crown height will increase. In this study, cruise and container ships will need to raise their crown height due to the projected wind pressure areas becoming larger due to the ships' size increase. The mooring assessment was evaluated with the rise of the crown height. The cruise ship of GT 100,000 tons exceeded the permissible breaking force of the mooring line under the crown height conditions of wind speed of 30 kts when the wind direction was 45° to the direction of the bow. Also, the elevation angle of the pier and mooring line was analyzed and exceeded the crown height, and it was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rown height. Container ships of DWT 100,000 tons were analyzed to exceed the limit of sway motion at the crown height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y need to be adjusted to the minimum crown height standar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선행 연구
 3. 국내외 마루높이 기준 분석
  3.1 국내 마루높이 기준 분석
  3.2 국외 마루높이 기준 분석
 4. 마루높이 적정성 시뮬레이션 평가
  4.1 대상선박 선정
  4.2 계류상황 모델링
  4.3 환경외력 모델링
  4.4 시뮬레이션 평가요소
 5. 시뮬레이션 평가 결과 분석
  5.1 A선박 시뮬레이션 평가 결과 분석
  5.2 B선박 시뮬레이션 평가 결과 분석
 6.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승연(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Seungyeon Kim
  • 이윤석(한국해양대학교 선박운항과, Division of Ship Navigation,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Yunsok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