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계열 분석 및 수치실험을 통한 완도의 하계 수온분포 KCI 등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ummer Water Temperature in Wando Using Time-Series Analysis and Numerical Experi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4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완도 해역에서 단기적인 수온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Power spectrum 결과에서 기온은 약 24 hr에서 peak를 보였으나 수온과 조위는 약 12 hr 및 24 hr에서 peak가 나타났다. 수온과 조위의 상관 성을 파악하기 위해 coherence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변수는 반일주기에서 0.92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수온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기에는 최강 낙조와 최강 창조 시의 평균 수온차가 0.3 인 반면, 소조기에는 평균 수온차가 0.13 로 작았다. 대조기의 수온차가 큰 이유는 비교적 수온이 낮은 외해수가 강한 조류에 의해 창조 시 유입되고 낙조 시 빠져나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수온은 외해보다 연안에서 높게 나타났다. 외해보다 연안은 수심이 얕기 때문에 일사량에 의해 수온이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Time 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hort-term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Wando. Spectrum analysis showed that air temperature peaks at diurnal period, while water temperature and tide level peak at both semi-diurnal and diurnal periods. Coherence between water temperature and the tide level presented 0.92 at semi-diurnal period. Numerical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in the study area. Average water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maximum ebb and flood was 0.3 in spring tide, but 0.13 in neap tide. The reason for the large difference in spring tide is that relatively cold water entered with strong tidal currents at flood tide and flowed out at ebb tide. Water temperature on coasts was higher than out at sea. This is because the depth in the coast is shallower than at sea, and water temperature increases rapidly due to solar radi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자료 및 방법
  2.1 해양환경 자료
  2.2 상관성 분석
  2.3 해수유동모델
 3. 결과 및 고찰
  3.1 수온·기온 및 조위의 상관성 분석
  3.2 해수유동
  3.3 모델 수온 분포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장찬일(부경대학교 해양산업공학(협),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Ocean Industri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Chan-Il Jang
  • 정다운(부경대학교 해양산업공학(협),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Ocean Industri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Da-Woon Jeong
  • 김동선(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Department of Ecolog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Dong-Su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