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동주택의 증축형 리모델링 안전진단 내구성 평가의 표본 수 최적화 방안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Field Sampling Number of the Durability Evaluation Method for the Extension Remodeling of the Apartment Hous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946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주택법에 근거하여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시 최대 3개층의 수직증축 및 기존 세대수의 15%까지 증축이 가능하게 되 었다. 수직증축 리모델링 가능 여부는 안전진단 기준 및 매뉴얼을 바탕으로 기울기 및 침하, 내하력, 내구성 평가 부문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평가하고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현행 증축형 리모델링 안전진단 기준 및 매뉴얼은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과 비교하여 조사대상표본 수를 증대시키는 등 보수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특히 내구성 평가 부문에 검토 및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 공동주택의 증축형 리모델링 안전진단 조사 사례에 대한 내구성 조사 항목 중 콘크리트 탄산화를 대상으로 통계적인 수법에 의해 표본 수 합리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Housing Act amended allows vertical extension up to three floors and increases the units of housing (or total floor area) to site up to 15%. Currently, the feasibility of performing vertical extension is evaluated based on safety diagnosis provisions and manuals with preliminary investigations on slope, uneven settlement, load-bearing capacity, and durability. However, a need for more reasonable evaluation methodology for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still required because the current procedures are borrowed from safety diagnosis provisions and manuals for reconstruction without detailed examinations on evaluation criteria and sampling methods. Accordingly,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a method to obtain feasible sampling size for durability assessment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safety evaluation data sets on concrete carbonation and steel corrosion obtained from apartment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beneficial for establishing more reasonable field sampling size, and in turn, more reliable durability assessment protocol for vertical extension.

목차
1.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문제점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안전진단 관련 기준 검토
  2.1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지침
  2.2 주택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2.3 증축형 리모델링 안전진단 기준
 3. 조사개요
  3.1 조사대상 건축물
  3.2 조사 항목
 4. 조사항목 표본수의 최적화 방안
  4.1 조사항목별 표본수 분석
  4.2 탄산화 항목 표본의 통계분석
  4.3 최적화 방안 제안
 5. 결 론
 References
 요 지
저자
  • 신희철(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 Shin, Heechul
  • 최기봉(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 Choi, Kibong
  • 윤상천(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 Yoon, Sangchu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