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우에서 이유시 체중과 임신기간, 생시체중 및 포유기 일당증체량간의 상관관계 KCI 등재

Relationships of Weaning Weight with Gestation Length, Birth Weight, and Pre-weaning Daily Gain in Hanwo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05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6년 사이에 강원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출생한 한우 송아지 1,069두로부터 조사된 이유시 체중과 임신기간, 생시체중 및 포유기 일당증체량 및 이유시 체중을 이용하여 단순상관, 다중 회귀 및 경로분석 등을 통해 이유시 체중과 임신기간, 생시체중 및 포유기 일당증체량 간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였다. 통계분석은 조사된 원 성적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동시에 조사된 원 성적을 송아지 출생 연도-계절, 송아지의 성, 어미의 산차 및 이유일령(포유기 일당증체량과 이유시 체중에만 해당) 등과 같은 환경효과에 대해 보정한 값인 잔차를 이용해서도 실시하였다. 조사된 형질들 간의 상관계수는 모두 양수였는데, 임신기간은 생시체중과의 잔차상관계수가 +0.315로서 중정도 크기였던 반면 포유 기 일당증체량이나 이유시 체중과의 잔차상관계수는 각각 +0.039와 +0.130으로서 작거나 0에 가까운 값이었다. 이유시 체중은 포유기 일당증체량과의 잔차상관계수가 +0.949로서 생시체중과의 상관계수인 +0.323보다 컸다. 잔차를 이용한 경로분석 결과 이유시 체중의 변이에 미치는 임신기간, 생시체중 및 포유기 일당증체량의 전체 기여도는 각각 0, 0.095 및 0.892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임신기간, 생시 체중 및 포유기 일당증체량 중에서 포유기 일당증체량이 이유시 체중의 변이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형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weaning weight(WW) with gestation length(GL), birth weight(WW), and pre-weaning daily gain(PDG) in Hanwoo cattle. The data for analysis included GL, BW, PDG and WW from 1,069 heads of Hanwoo calves which were born from year 2006 to 2016 in Gangwon Province Livestock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raw values as well as on the residual values adjusted for the som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alf birth year-season, sex of calf, parity of dam, and linear effect of weaning age(only for PDG and WW). Al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GL, BW, PDG and WW were positive. The residual correlation coefficient of GL was shown to be moderate with BW(=+0.315) but was low or near to zero with PDG or WW(=+0.039 and +0.130, respectively). The residual correlation of WW with PDG(=+0.949) was larger than the correlation with BW(=+0.323). In path analysis using residual values, total contribution of GL, BW and PDG were 0, 0.095 and 0.892, respectively on the variation of WW.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PDG was the most influential trait on the variation of weaning weight in Hanwoo cattle.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자료
  2 통계분석
   2.1 상관계수 추정
   2.2 다중회귀 분석과 경로분석
 결과 및 고찰
  1 단순 평균치, 단순 상관계수
  2 다중회귀 및 경로 분석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창우(강원도 축산기술연구소, Gangwon Province Livestock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Chang-Woo Lee
  • 최창식(강원도 축산기술연구소, Gangwon Province Livestock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Chang-Sik Choi
  • 황환섭(강원도 축산기술연구소, Gangwon Province Livestock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Hwan-Sup Hwang
  • 박연수(강원도 축산기술연구소, Gangwon Province Livestock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Yeon-Soo Park
  • 송준석(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Jun-Seok Song
  • 최정우(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Jung-Woo Choi
  • 김종복(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Jong-Bok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