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동문학에 등장하는 불개와 삽사리의 상징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Symbol of Bulgae and Sapsaree in Children’s Litera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07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정승각의 동화 『까막나라에서 온 삽사리』에 등장하는 ‘불개’와 ‘삽사리’가 지니고 있는 상징의 의미를 구명하는 것이 본 논고의 연구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한․일의 칠석형 <나무꾼과 선녀 이야기>에 등장하는 ‘개’의 역할과 그 ‘개’의 소유자를 밝힌 후, 고구려의 덕흥리 고분벽화의 「견우직녀도」의 ‘개’와 밤하늘에 빛나는 별자리의 ‘개’ 그리고 한국의 민담에 등장하는 ‘불개’와 대응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일본의 구비 <날개옷 설화>에 등장하는 ‘개’에는 ‘직녀의 개’와 ‘견우의 개’도 있지만, 그 ‘개’가 누구의 ‘개’이든 상관없이 견우의 승천에 직․ 간접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다. ‘견우의 개’는 흰색, 검은색, 붉은색으로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직녀의 개’는 어떤 색깔인지 알 수 없는 것 이다.
한국 <나무꾼과 선녀 이야기>에 등장하는 ‘개’는 모두 ‘직녀의 개’일 뿐이다. 이 ‘직녀의 개’는 원래 견우의 승천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지만, 견우가 하늘에서 지상으로 함께 내려온 ‘개’ 의 꼬리를 놓쳐서 남편이 승천을 할 수 없는 이야기만 있기 때문에, 직녀의 개가 남편의 승천에 도움을 주었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직녀의 개’는 청색과 검은색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이 ‘직녀의 개’는 ‘청삽사리 (청 삽살개)’와 ‘까막 (까만) 강아지’, ‘쬐그만 강아지’로 각각 다르게도 불리지만, 이 ‘까막 (까만) 강아지’와 ‘쬐그만 강아지’는 강아지의 성장 과정에 따른 ‘청삽사리’의 또 다른 이름에 불과한 것이다.
‘불개’ 민담의 ‘불개’와 동화 속의 ‘불개’는 고대인들의 의식 속에서 일식과 월식을 일으키게 하는 ‘시리우스- 천랑성’의 상징인 것이다,
<날개옷 설화>의 ‘직녀의 개’는 은하수를 건너편 하늘에 있는 작은개 별자리 (프로키온/남하)의 상징으로, 「견우직녀도」의 ‘검은 개 모양의 짐승’과 동화 속의 ‘청삽사리’와 대응하는 것이다. 일본 <날개옷 설화>의 ‘견우의 개’는 은하수를 건너가기 전에 있는 ‘큰개자리 (시리우스/천랑 성)’,이고, 「견우직녀도」의 ‘성성지상’과 동화 속의 ‘황삽사리’와 대응하는 것이다.
「견우직녀도」의 ‘검은 개 모양의 짐승’은 한국 <나무꾼과 선녀 이야 기>의 ‘청삽사리’, ‘쬐그만 강아지’, ‘까막 강아지’와 대응되기 때문에, 이 ‘검은 개 모양의 짐승’을 일본의 ‘구로 (黑)’의 번역어인 ‘검둥개’나 ‘검둥 이’로 부르기보다는 ‘청삽사리’나 ‘쬐그만 강아지’ 또는 ‘까막 강아지’로 부르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동화 속의 ‘불개’와 ‘삽사리’는 일제 강점기에 채록된 민담에 의거하여 창작되었을지는 모르지만, 그 원천 소스 (source)는 고구려의 덕흥리 고분벽화로 대변되는 고구려의 칠석전설과 칠석형 구비 <나무꾼과 선녀> 이야기일 개연성이 많은 것이다.

The purpose is to study a symbol of the Bulgae and Sapsaree in children's literature. There are Gyun-woo and Jing-nyuh's dog in Swan maiden of Japan. The dogs help that Gyun-woo go to heaven in Swan maiden of Japan. But there are only Jing-nyuh's dogs of dogs in Swan maiden of Korea. The dogs do not help that Gyun-woo go to heaven in Swan maiden of Korea. Bulgae in Korean folk tales and Hwang-sapsaree in children's literature is a symbol of the Sirius. Cheong-sapsaree in children's literature is a symbol of Procyon. The dog of Goguryeo Deokheung-ri ancient tomb mural not Gyun-woo’s dog but Jing-nyuh's dogs. The dog should be called not Kuro of Japanese style but Cheong-Sapsaree of Korean style. and The dog does not help that Gyun-woo go to heaven. The Sungsung of Goguryeo Deokheung-ri ancient tomb mural is dealing with Hwang-sapsaree in children's literature.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본론
  1. 불개
  2. 일본 <날개옷 설화>의 개
  3. 한국 <나무꾼과 선녀 이야기>의 개
  4. 덕흥리 고분벽화 「견우직녀도」 속의 ‘개’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상준(인천대학교) | Lee, Sang Jo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