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통제이론의 관점에서 본 수형자의 가족관계: 가족접견, 서신교환, 구금 후 가족관계 변화 KCI 등재

A Prison Inmates’ Family Relationship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trol Theory: Family visit, Contact by Mail with Family Members, and Prisoners’ Assessment of Family Relationships After His/her Incarce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08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범죄자가 유죄판결을 받고 교도소에 수감되면 그들의 가족관계는 큰 변화를 맞게 된다. 수형자가 가족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면 가정을 지킬 수 있고, 이들의 수형생활이 안정되며, 출소한 이후의 재범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써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연구는 수감기간 중에 수형자가 경험하는 가족관계(가족접견, 편지수신, 구금 후 수형자가 느낀 가족관계 변화)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였다. 먼저 사회통제이론의 관점에서 수형자의 가족관계를 설명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관련 선행연구가 제한적인 점을 고려하여 수형자와 관련된 다른 변인들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을 위해 6개의 교도소에서 수집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형자와 가족 간 접촉정도(가족접견과 서신수신)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고, 수형자가 구금 이후 느낀 가족관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서열형 로짓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통제이론에서 도출한 가족애착(아버지 애착, 부모애착)이 강할수록 각기 가족접견과 서신수신이 많았다. 또한 수형자의 가족애착이 강할수록 이 들은 구금 후 가족관계가 이전과 비슷하거나 더 좋아졌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차원에서 수형자 관련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가족의 서신수신횟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별, 교육, 가구 총 수입이었다. 가족접견 횟수에는 교육, 가구 총 수입과 이번 범죄로 복역한 기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구금 후 수형자가 느낀 가족관계의 변화에는 성별, 나이, 이번 범죄로 복역한 기간과 구금 중 가족접촉 정도(가족접견과 서신수신횟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분석결과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추론을 제시하였고, 사용한 자료와 연구의 한계와 더불어 정책적 함의와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prison inmates’ family relationship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trol theory. It tested the effect of parent attachment upon family visit, contact by mail with family members, and prisoners’ assessment of family relationships after his/her incarceration. Since only a few empirical studies are available,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actors, other than attachment.
Empirical test results give full support to social control theory. Parent attachment tapping quality of pre-prison relationship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number of family visit and contact by mail with family members. Parent attachment was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of prisoners’s assessment of family relationships after his/her incarceration. Contacts with family helps to assess inmates’ family relationships positively after incarceration. Besides theoretical factors, inmates’ contact by mail with family members was influenced by gender,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income. Family visit was affected by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and time served for the most recent incarceration. Prisoners’ assessment of family relationships was influenced by gender, age, time served for most recent incarceration and family contact(visit and mail). Policy implications and researc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made and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민수홍(경기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 Min Suhong (Professor, Kyongg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