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澹軒 河禹善의 생애와 시세계 KCI 등재

The Study of Damheon Ha, Woo-seon's Life and Poetic World

담헌 하우선의 생애와 시세계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279
  • DOIhttps://doi.org/10.14381/NMH.2018.58.06.30.21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본고는 澹軒 河禹善(1894~1975)의 생애와 시세계를 고찰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담헌은 19세기 말에 태어나 일제 강점기와 근대화의 시대를 거쳐 20세기 후반에 세상을 마쳤다. 한문학이 막을 내린 이후의 시대를 살았던 인물이다. 樂窩 河弘達 이후 남명학을 계승해온 하동군 옥종면 안계마을이 그의 고향이다. 담헌은 젊은 시절 일제의 단발령에 저항하며 경남의 각지를 떠돌아다녔으며, 이후로도 혼란한 시대에 ‘敬義’로 표상되는 남명정신을 근간으로 선비의 본분을 잃지 않으려 평생 노력하였다. 때문에 그의 시에는 심성 수양, 남명에 대한 존숭과 유교지식으로서의 처세, 강점기 시대의 세태에 대한 개탄 등이 들어있으며, 근대화 시기의 서울 풍경도 담겨있다. 요컨대 담헌의 삶과 문학에서 혼란한 시대를 살아간 마지막 남명학 계승자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life and poetic world pursued by Damheon Ha, Woo-seon(1894~1975). Damheon, as a person who was bor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went through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the era of modernization, passing away in the late 20th century, lived during the period after the era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came to an end. His hometown is Hadong-gun, Okjong-myeon Angye village which has succeeded to Nammyonghak after Nakwa Ha, Hong-dal. When he was young, Damheon was wandering about various places of Gyeongnam while resisting the Japanese imperialists’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and even afterwards, he made lifelong efforts not to lose a classical scholar’s duty on the basis of the Nammyong spirit represented by ‘Gyeong-Ui’ in a turbulent period. Accordingly, his poems include mind cultivation, reverence for Nammyong, conduct of life based on Confucian knowledge, and lamenting remarks on social condition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etc., together with landscapes of Seoul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as well. In short, it’s possible to find the figure of the last Nammyong scholar, who lived in a turbulent period, from Damheon’s life and literatur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담헌 하우선의 생애
 Ⅲ. 담헌 하우선의 시세계
 Ⅳ. 맺는 말
저자
  • 李奎必(경북대학교 한문학과) | 이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