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老’의 의미범주와 고대중국인의 ‘연령’ 인식 -"說文解字" ‘老’部 한자를 중심으로- KCI 등재

Semantic Categories of ‘老’ and The ancient Chinese’s perception of ‘age’ - Focus on the radical ‘老’ in "說文解字" -

‘로’의 의미범주와 고대중국인의 ‘연령’ 인식 -"설문해자" ‘로’부 한자를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280
  • DOIhttps://doi.org/10.14381/NMH.2018.58.06.30.28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고대한어에서 ‘老’부에 속한 한자 대부분이 ‘연로하다’와 관련이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그 의미는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우선 『說文解字』 ‘老’부에 속한 한자는 ‘老’·‘耊’·‘𦽡’·‘耆’·‘耇’·‘𦒻’·‘𦒶’·‘壽’·‘考’·‘孝’ 등 10자가 보이는데, 이 중에서 일부 한자는 현대한어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또 일부 한자는 書面語에서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 사용 예를 살펴보면, ‘老’·‘耊’·‘𦽡’는 모두 나이를 가리키지만, ‘老’는 70세, ‘耊’는 80세, ‘𦽡’는 90세 등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 또 ‘耇’·‘𦒻’은 노인의 외부 모습을 통해 나이를 표현하고 있는데, ‘耇’는 얼굴 피부가 얼어있는 배(껍질)처럼 때가 낀 것과 같은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𦒻’은 흔히 노인들 얼굴에서 볼 수 있는 검은 반점을 가리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𦒶’는 노인의 불편한 행위를 통해 나이를 드러내고 있는데, 보폭이 작아서 서로 부딪치는 것과 같은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이 외에도, 본래 장수의 의미로 사용되던 ‘考’·‘壽’ 중에서, ‘考’는 이후에 의미가 파생되면서 돌아가신 부친, 혹은 시험을 치거나 고찰하는 등 의미를 나타내게 되었다. 현대한어에서는 ‘老’자의 활용이 매우 많으며, 본래의 의미뿐만 아니라 파생의미 또한 증가하였다. 물론 ‘老’자를 부수로 지닌 한자들 또한 현대한어에서 의미범주의 변화가 일어난 것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老’와 ‘考’ 등 한자는 의미항목이 증가한 반면, ‘孝’의 의미항목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또 ‘壽’․‘耊’·‘𦽡’·‘耆’·‘耇’ 등은 비록 본래 의미 그대로 書面語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𦒻’·‘𦒶’ 등은 현대에 이르러 이미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 문법기능의 측면에서 보면 품사가 가장 다양하게 사용되는 한자는 ‘老’·‘壽’·‘考’인데, 고대한어에서는 명사, 동사, 형용사의 용법으로 모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老’자는 현대에 이르러 품사의 활용이 더욱더 다양해졌다. 다시 의미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고대한어에서는‘𦽡’가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老’가 가끔 부정적인 색채를 가지고 있는 것 외에 나머지 한자들은 대부분 중성의미나 긍정적 의미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老’부 한자에서 ‘연로’에 대한 인식은 노인의 피부, 걸음걸이, 長壽 등 시각적으로 형상화된 표현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화적 현상은 고대 중국의 예교사상인 ‘敬老’의 영향으로 인하여 부정이미지에 대한 직접적인 표현을 피하고자 하는 기피현상으로 볼 수 있었다. 본고는 ‘연로’함을 나타내는 同義 한자에 대한 차별성을 고찰해 봄으로써, 당시 사람들이 노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나이의 표현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인식 정도를 엿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동의성’으로 인해 쉽게 혼동하기 쉬운 한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동의 한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사용이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There are the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the radical‘老’ in 『說文解字』, which are ‘老’·‘耊’·‘𦽡’·‘耆’·‘耇’·‘𦒻’·‘𦒶’·‘壽’·‘考’·‘孝’. Some of them are no longer used in these modern times, but other characters barely keep themselves in existence as written language. On the other hand, as a Chinese character such as ‘老’ has been increasingly used in modern times, the derived meaning as well as the original meaning has also varied steadily. In ancient Chinese, most of the Chinese characters containing the radical ‘老’ have the meaning of ‘aged’; however, if you take a close look at, the meaning has a little difference in the contexts. The characters such as ‘老’·‘耊’·‘耊’ are related to ‘age’. For example, ‘老’ means septuagenary; ‘耊’ is a eighty-year-old person; ‘𦽡’ a man at the age of 90; ‘耇’·‘𦒻’ is about aged human skin, ‘耇’ indicates facial conditions as if facial skin is like a frozen pear; and ‘𦒻’ means black spots on the elderly’s faces. In case of the character ‘𦒶’, it describes the walking figure when elderly people walk with a short stride. ‘考’·‘壽’ originally signified both ‘being aged’ and ‘longevity’, but after ‘考’ is derived from the meanings, they reflect ‘deceased parents’, ‘to take a test’ or ‘to consider’ The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the radical ‘老’ have been changed in meanings as time passes. While the meanings of some characters such as ‘老’와 ‘考’ accumulate, the number of meanings of ‘孝’ has been declined. ‘壽’·‘耊’·‘𦽡’·‘耆’·‘耇’ are used in written language as it is ; however, the characters such as ‘𦒻’·‘𦒶’ have not been used at all at the present time. Grammatically speaking, ‘老’·‘壽’·‘考’ have the widest variety of parts of speech. While in ancient times they have already been used as a noun, a verb, and an adjective, parts of speech of the character ‘老’ has outnumbered and diversified in modern times. In addition, most of the Chinese characters other than ‘𦽡’ have been used as neuter or affirmative meanings while ‘老’ has a negative meaning at times. The Chinese characters related to the radical ‘老’ show ‘respect for the elderly’ in ancient dynasties through example sentences as these characters describe age, skin conditions, gaits, and longevity from the perspective of ancient people. From exploring the Chinese characters containing the radical ‘老’ of 『說文解字』, we can examine closely how ancient people thought and regarded the elderly and what they put emphasis on when they expressed elderly people.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 radical ‘老’ are easily confusable but through the study of these characters, the characters could be used more correctly as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 are throughly investigat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부 한자의 의미범주
 1. 문자학적 접근
  1) 고대한어에서의 의미범주
  2) 현대한어에서의 의미범주
 2. 어법기능의 변화와 의미범주
  1) 어법기능의 비교
  2) 의미범주의 도상화
  3) ‘⽼’부 한자의 동의관계
 3. ‘⽼’부 한자의 문화 인식
 Ⅳ. 결어
저자
  • ⾦桂花(경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 김계화
  • ⾦正必(경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 김정필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