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칭 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분석 KCI 등재

A Review of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coaching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7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과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의 동향분석을 통하여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모색하여 향후 코칭 관련 간호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논문분석 기간 은 2000년 1월부터 2018년 3월까지로 하였으며, 최종 분석논문은 37편으로, 학위논문이 12편 (32.4%), 학술지 논문이 25편(67.6%)이었다. 서술적 조사방법을 통해 코칭 관련 연구의 시기별 동향과 연구 설계, 연구 대상자, 코칭프로그램, 코칭모델, 효과측정변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시 기별 동향은 2005년을 시작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3년 동안의 연구가 18편(48.7%)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설계는 유사 실험연구가 26편(70.3%)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자는 간호사와 환자가 각 14편(37.8%)으로 많았으며, 그 외 학생, 환자 보호자, 교사로 조사되었다. 분석 논문 중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는 25편(67.6%)이었으며, 그 중 코칭모델을 사용 한 논문은 9편(24.3%)이었다. 효과측정변수는 심리적 변수에서 자기효능감이 13편(35.1%), 생리적 지표변수에서 혈압 6편(16.2%), 혈당관련 지표 6편(16.2%), 코칭관련 변수에서 코칭행동 5편(13.5%) 순으로 많았다. 향후 국내간호 상황에 적합한 코칭모델, 코칭 프로그램, 코칭스킬 증진을 위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nursing research related to coaching and to explore the status of research and to seek directions for future coaching-related nursing research. The analysis period was from January 2000 to March 2018, and the number of final analytical thesis was 37. Through descriptive research, we analyzed the trends in coaching-related research,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coaching programs, coaching models, and measurement parameters of effects. The number of thesis for various research designs are as follows. The study of quasi experiments was the most, 26(70.3%), and for participants, nurses and patients each of the 14(37.8%), other students, patients caregivers, and teachers.
Among the analytical thesis, 25 (67.6%) adopted coaching programs, and 9 (24.3%) used coaching models. Self efficiency 13 (35.1%),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ment parameters of effects. It is followed by blood pressure 6 (16.2%), blood glucose related indicators 6 (16.2%) and coaching behavior 5 (13.5%). For future studies, active research is necessary for developing coaching models, coaching programs, and skills that are suitable for future domestic nursing situations.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대상 선정 및 자료수집 방법
  3. 자료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시기별 연구동향 분석
  2. 연구 설계
  3. 연구대상자
  4. 코칭프로그램 및 코칭모델
  5. 코칭 관련 효과측정변수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허영림(경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수료)
  • 정면숙(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경상대학교 건강과학연구원)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