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실습경험에 따른 예비보육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KCI 등재

Awareness of STEAM Education among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according to Field Experi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7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보육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2, 3학년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최종 118명의 설문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학생에 비해 들어본 경험이 없는 학생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STEAM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학생은 전체응답자의 65.3%였다. 둘째, STEAM 교육을 위해 필요한 교사자질과 역할에 대한 인식정도에서는 4가지 교사자질(누리과정과 연계해서 교육 활동을 구성, 기존의 통합교육과 구별할 수 있는 이해력, STEAM 각 영역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관심과 의지)과 5가지 교사역할(도전적 과제 제시자, 학문적 지지자, 활동 참여 촉진자, 평가자, 자기 역할 설정자) 모두에서 보육실습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보육실습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TEAM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교육 내용의 중요도와 보유도, 요구도를 비교한 결과, 중요도에서는 8가지 모든 상위범주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유도에서는 2가지 상위범주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에서는 보육실습경험이 있는 집단의 경우 주로 실제적인 STEAM 수업 설계 및 실행 능력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반면, 보육실습경험이 없는 집단의 경우 STEAM 에 대한 지식적인 측면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교사로서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새로운 지식 및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교육환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wareness about STEAM education of preliminary second and third year care teachers who a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Child Car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inal 118 survey response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in STEAM education was higher than those who had heard about STEAM education. 65.3%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needed STEAM education. Second, we examined teacher qualification and role for applying STEAM education. Students with hands-on experience of child care practice responded that all of the four teacher qualities and five teacher roles were more important than those without experience. Third, for comparing the importance of STEAM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preliminary care teachers between the two groups across all eight top categories. Also, we recognized that teachers with hands-on experience were more important. By comparing the perception of capability in STEAM edu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esign and performance of the STEAM classes and in the content of the STEAM activity assessment techniqu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provides concrete educational contents that are required by preliminary care teachers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예비보육교사들의 STEAM 교육 이해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2. 보육실습경험에 따른 예비보육교사의 STEAM 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과 역할 인식 비교
  3. 보육실습경험에 따른 예비보육교사의 STEAM 교육내용에 대한중요도와 보유도 인식 비교
 Ⅳ. 논의 및 결론
  1. 예비보육교사들의 STEAM 교육 이해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2. 보육실습경험에 따른 예비보육교사의 STEAM 교육을 위한 교사자질과 역할 인식 비교
  3. 보육실습경험에 따른 예비보육교사의 STEAM 교육내용에 대한중요도와 보유도 인식 비교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현정(연성대학교 유아특수재활과 조교수) | Lee Hyun Jung (Dept. of Special Rehabilitation for Young Children, Yeons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선영(경복대학교 영유아보육과 조교수)
  • 김지숙(한국복지대학교 한국수어교원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