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커뮤니티 아트 지향의 공공벽화 디자인패턴 개발과정 체계화 및 유용성 검토 KCI 등재

A Study on the Usefulness and Systematization about Process of Developing Design Pattern of Public Mural which aims at Community A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034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8.53.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고는 공공벽화의 문제점으로 거주민들의 참여와 소통, 그리고 그들의 희망이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F모델(Flexible 3D Model)을 활용해 커뮤니티 아트 지향의 공공벽화 디자인패턴 개발과정을 체계화한 다음, 그 유용성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는 커뮤니티 아트와 공공벽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F모델을 응용해 주민들의 디자인 참여와 소통을 활성화할 수 있는 디자인패턴 개발 프로세스로의 형식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워크숍과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워크숍 결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디자인패턴 개발과정 자체를 재미있어한다는 점과 참가자들 간에 대화와 소통을 촉진시키면서 상호 이해와 공감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는 점 그리고 다양하고 흥미로운 결과물이 만들어짐으로써 사람들에게 만족감을 제공한다는 점 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면 커뮤니티 아트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관계, 참여, 과정, 공유의 예술로써의 속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때문에 커뮤니티 아트 지향의 공공벽화 제작을 위한 디자인수법으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공공벽화 디자인과정, 특히 아이디어 스케치 단계에서 주민들의 의사와 정서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는 수법으로 디자인템플릿을 활용한 디자인패턴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향후, 도시의 문화적 재생과 관련해 실제 적용대상을 발굴, 실체화하는 후속연구를 통해 실용적 방법론으로 발전시켜 가고자 한다.

This dissertation notes that the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hope of residents a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public mural, which constitutes a problem. To solve it, Flexible 3D Model drawn in the precedent study is utilized to systematize the process of developing design pattern of public mural which aims at community ar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tility. The study was realized through method such as formulation of process of developing design pattern which can activate residents’ participation in design and communication by applying theoretic investigation on community art and public mural as well as F model, design workshop and questionnaire for students. The outcome of workshop is summarized to the fact that they are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design pattern,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can be promoted among participants to broaden mutual understanding and the breadth of sympathy, people are satisfied with diverse and interesting result. Considering such points, it is judged to include the attributes of art, e.g., relation, participation, process and sharing, the characteristic of community art. Thus, it may be design means to produce public mural which aims at community art. Based on the above result, I propose the process of developing design pattern which utilizes design template as means to properly reflect residents’ intention and emotion in the design process of public mural, especially the stage of idea sketch. Later I will develop it to practical methodology through subsequent study which finds and embodies the actual subject of public mural in relation to the cultural reclamation of city.

목차
1. 서론
 2. 공공벽화와 커뮤니티 아트
 3. 디자인패턴 개발 프로세스 정교화
 4. 결론
 REFERENCES
저자
  • 하봉수(동양대학교) | Ha, Bong 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