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모호한 담도 협착의 진단적 접근법 KCI 등재 SCOPUS

Diagnostic Approach to Indeterminate Biliary Stric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2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담도 협착은 흔히 다각적 접근법을 필요로 하지만, 실제는 어려운 과제이다. 조직 검사를 포함한 내시경 검사, 혈액 검사, 영상 검사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그 협착의 원인을 밝힐 수 없을 경우 ‘모호한 담도 협착’이라 정의한다. 자기공명영상 (MRI), 자기공명 담췌관 검사(MRCP) 및 다중검출 CT (MDCT) 등의 영상학적 검사들은 협착 부위, 정도, 길이 및 종괴의 유무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기에 정확히 악성 협착을 진단할 수 있다면 적절한 수술 시기를 결정할 수 있고, 적절한 항암 치료 시점을 알려줄 수 있다. 아직까지 악성 협착과 양성 협착을 감별할 수 있는 확실한 진단법은 확립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담도 협착의 원인을 분석하고, 담도 협착에 대한 진단율을 높이기 위한 혈액 검사, 영상학적 검사, 최근 발전하는 내시경 검사 및 조직검사에 관하여 소개하려 한다.

Accurate diagnosis of biliary strictures is challenging and it commonly necessitat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ere has been a great advancement of endoscopic techniques in tissue acquisition, laboratory tests, and imaging studies. Indeterminate biliary strictures are defined as strictures of no identifiable etiology despite extensive evaluation. Imaging modalities such a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play a great role in evaluating the level, degree, length of biliary strictures and presence of a mass. Early and accurate diagnosis as malignant stricture can determine not only optimal timing of surgery, but also potential timely chemotherapy. No assertive diagnostic modalities to distinguish benign from malignant strictures is yet established. This article reviews various etiologies of biliary strictures and discusses the laboratory evaluation, imaging modalities and promising endoscopic work-up with biopsy to improve the diagnostic sensitivity.

목차
서 론
 본 론
  1. 담도 협착의 원인
  2. 혈액 검사
  3. 영상학적 검사
  4. 내시경적 검사
 결 론
 요 약
 REFERENCES
저자
  • 김국현(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Kook Hyun Kim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