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 인식 및 관련 교사 배경변인에 관한 연구 KCI 등재후보

A study on the related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and professional self‐identity percep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26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아교육연구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이와 관련된 교사 배경 변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교수기술,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 자기조절능력의 6가지 하위범주가 있으며, 교사 배경변인으로는 교직경력, 근무기관유형, 담당학급연령, 근무기관 소재지이다. 영유아교사 4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먼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높은 편이었으며, 하위 범주의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교수기술,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자기조절능력, 외재적 동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 관련 교사 배경 변인에서 교직경력은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무기관유형에서는 교수지식과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근무지역 소재지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그리고 담당학급연령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와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의 하위범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교사들의 보다 긍정적인 전문적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교사 배경에 따라 차별성을 둔 현직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구성, 실행하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 self-ident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teacher's background. Professional self-identi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sted six factors; professional-oriented teaching culture, teaching skill, self-regulatory ability, intrinsic motivation for continued teaching,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continued teaching.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include teaching career experience, type of institution, age of the teacher’s class, and workplace locati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412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fessional self-ident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 In the sub-category, professional self-identity scores were high in order of teaching knowledge, intrinsic teaching continuance motive, teaching skill, professionalism oriented teaching culture, self-control ability, external motivation. Second, i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rofessional self-ident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except the intrinsic motiv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professional-oriented teaching culture about the type of institution, in professional-oriented teaching culture in workplace location, in professional-oriented teaching culture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continued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nd implementing direction and content of in-service education with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in order to establish more positive professional self-ident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저자
  • 백은주(목원대학교 교수)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