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담배 연기에 의한 피부 지질 산화 방지 효과 KCI 등재

Protective Effect of Cosmetics Containing Red Beet against Cigarette Smoke-induced Oxidative Damage in Human Sk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4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최근 화장품 시장에서 안티폴루션 효능이 있는 화장품은 새로운 피부 건강을 위한 해결책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부(대기) 오염물질에 의해 피부의 산화 기전을 매개하는 주요 원인 인자들로 오존, UV, 미세먼지 및 담배연기 등을 꼽을 수 있다. 담배 연기의 노출은 직⋅간접적으로 피부 표피 내 지질의 산화를 야기한다. 피부의 지질 산화에 의해 squalene과 squalene monohydroperoxide의 비율 변화가 발생하고, malondialdehyde (MDA)가 지질산화 산물로 생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배연기 노출 시 발생하는 피부 산화에 대하여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방지할 수 있는 효능이 있는지에 대하여 MDA의 생성량으로 관찰하였다. 시험대 상자 전박부를 세 영역(음성대조, 양성대조, 시험제품)으로 나누어 각 지름 3.3 cm의 원으로 구획하고, 15분간 담배연기에 노출 후 피부 표면으로부터 지질막을 걷어낸 후 TBARS assay를 통하여 MDA를 정량 하였다. 음성 대조(무도포, 미노출)에 비해 양성대조(무도포, 담배연기 노출)의 MDA 생성량이 3.7배 증가된 결과로, 오염물 질인 담배연기에 의한 피부의 산화적 손상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을 미리 도포한 영역은 양성대조에 비해 MDA 생성량이 25%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담배연기 노출은 피부 표피 내 지질 산화를 야기하며,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이러한 대기환경오염으로부터 방어적 효과(안티 폴루션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cosmetics market, anti-pollution products recently come up with new solution for skin health. Environmental oxidation mechanisms are realized as bio-marker of atmospheric pollution upon skin by environmental pollutant such as ozone, UV rays, particulate matter (PM) as well as cigarette smoke. The exposure of cigarette smoke directly or indirectly causes the oxidation of the stratum corneum skin lipids, resulting in the conversion of squalene to squalene monohydroperoxide and/or generation of malondialdehyde (MDA) as a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whether new cosmetics product containing red beet has anti-oxidation effect on skin exposed by cigarette smoke. So as to determine oxidative damage to human skin at biochemical level, each unit area of volar forearms was exposed to cigarette smoke through device (3.3 cm, diameter) for fifteen minutes, then measured MDA using standardized TBARS assay kit. Compared to negative control (untreated and unexposed area), the level of MDA was significantly ascorincreased at positive control (untreated and exposed area) more than 3.7 times, indicating the pollutant induced-oxidative damage on the skin barrier. Whereas, the pre-applied area with the cosmetics products containing red beet revealed a decrease of 25% compared with positive control. As reports,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cigarette smoke induce peroxidation of stratum corneum skin lipids. Conclusively, we suggest that anti-pollution effect of the cosmetics product containing red beet is beneficial to prevent the oxidation of skin lipids by atmospheric pollu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2.1. Materials
  2.2.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3.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4. Subjects
  2.5. Skin Treatment and Cigarette Smoke Exposure
  2.6. Skin Sample Collection and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Assay
  2.7. Statistics
  2.8. The Extraction of Red Beet
  2.9. All Ingredients in the Face Serum
 3. Results
  3.1.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Red BeetExtracts
  3.2.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Cosmetics ProductContaining Red Beet on Oxidation of StratumCorneum Lipid
 4.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
저자
  • 서초롱(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주)) | Cho Rong Seo (P&K Skin Research Center.)
  • 하태현(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주)) | Tae Hyun Ha (P&K Skin Research Center.)
  • 문지영(유씨엘(주)) | Ji Young Moon (UCL Co., Ltd.)
  • 김정미(유씨엘(주)) | Jeong Mi Kim (UCL Co., Ltd.)
  • 박병권(유씨엘(주)) | Byoung Kwon Park (UCL Co., Ltd.)
  • 이지원(유씨엘(주)) | Ji Won Lee (UCL Co., Ltd.)
  • 박진오(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주)) | Jin Oh Park (P&K Skin Research Center.)
  • 신진희(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주)) | Jin Hee Shin (P&K Skin Research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