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메타 게임의 정체성 연구 - 게임에 대한 게임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alysis of Identity of Meta Game - A Focus on Games about Game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5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게임 산업이 성숙기를 거치면서, 게임의 정체성 자체를 게임의 고유한 양식을 통해서 고찰하는 이른바 ‘게임에 대한 게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디 게임과 아트 게임으로 분류되는 게임 장르를 중심으로 ‘메타 게임’의 정의와 특징, 게임사적 의의를 도출했다. 먼저 메타 게임은 게임의 고유한 매직 서클의 경계를 해체하기 위해 게임의 인공성을 강화한다. 또한 게임의 고유한 특성인 절차성을 게임 플레이를 통해서 형식적으로 제시한다. 세부적으로 메타 게임은 매체를 둘러싼 외부 콘텍스트를 게임의 요소로 활용하며, 게임 공간의 근원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 ‘미로’ 메타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나아가 메타 게임은 게임 특유의 상호텍스트성을 강조하면서 게임 세계 내에서 환상성과 현실성이 공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메타 게임을 통해 게임은 하나의 독립적인 표현 예술이자 실험적인 콘텐츠가 될 수 있는 동시에, 정형성과 관습성을 넘어서서 대안적 매체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메타적으로 제시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game industry, ‘games about games,’ which examine the identity of game itself through a form of the game, emerged with a variety of shapes. Thus,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meta game.’ Firstly, meta games strengthen the artificiality of the games and suggest procedurality through a form of the game play. Meta games also utilize the external context as a part of the games, and use the metaphor of ‘labyrinth’ to identify a feature of the game space. Furthermore, they emphasize intertextuality and prove that the fantasy and the reality can merge within the game world. In conclusion, meta games prove themselves to be independent expressional arts and experimental content, and suggest the potential for an alternative medium beyond formality.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메타 게임의 구조적 특징
  2.1 게임의 인공성 강화
  2.2 게임의 절차성 표면화
  2.3 게임의 콘텍스트 추출
  2.4 미로 메타포를 통한 게임 공간 규명
 3. 메타 게임의 자기 규정
  3.1 절차성을 통한 상호텍스트성 강화
  3.2 환상성과 현실성의 혼합적 제시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소연(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So-Yeon Kim (Dept. of Content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 한혜원(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Hye-Won Han (Dept. of Content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