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지털스토리텔링 한국어 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토리 생성과정에 나타난 상황학습 탐색 KCI 등재

Explor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situated learning in story creation process of digital storytelling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600
  • DOIhttps://doi.org/10.14328/MES.2018.6.30.2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한국어교육 상황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토리 생성과정에 나타나는 상황학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여성결혼이민자 2명의 참여자와 교사가 한국어를 학습하고 디지털스토리를 생성해 나가는 수업을 연구 사례로 보고 각 사례의 고유성을 이해하고 공통점 및 상이점을 살펴보고자 참여 관찰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사전 설문지, 전사자료 및 학습활동 산출물, 학습자 면담을 포함하며, 분석적 귀납법에 따라 반복 분석 및 상황학습이론 고찰을 병행하여 스토리생성과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삼각측정법, 조사자 위치기술, 참고자료 등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상황학습 기반 디지털스토리텔링 환경에서 교사와 학습자는 스토리구술 및 디지털화를 위하여, 학습자 삶의 경험ㆍ생각ㆍ언어지식 등을 공유함으로써 상황적 지식이 보다 명료화되어가는 스토리생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즉 학습자의 경험과 생각, 의미, 선행지식, 학습내용, 실생활 등이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ㆍ확장됨으로써 상황학습이 이루어졌다. 제2언어 학습자의 스토리가 제2언어로 구술되고 디지털스토리로 재생성 되는 학습과정 이해를 통하여 상황학습을 위한 디지털스토 리텔링 학습 설계와 상황학습의 이해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wo female marriage immigrants’ situated learning during story creation as part of digital-storytelling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ith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data sources include prior survey, observation and interview scripts, and learners’ learning products. Data analysis adopts iteratively inductive analysis with the guidance of situated learning theory. In result, the teacher and learners shared learners’ experience, perspectives, language knowledge, etc. in order to draft and digitalize stories. That is, learners experienced situated learning by dynamically aligning and expanding their experience, perspectives, meaning, prior knowledge, learning subjects, and daily lives into activities in digital-storytelling.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both designing digital-storytelling for situated learning and understanding learning from the situated learning perspective.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디지털스토리텔링과 상황학습
  1. 디지털스토리텔링과 교육적 활용
  2. 디지털스토리텔링 한국어교육에서의 상황학습
 Ⅲ.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 참여자 활동 요약
  2. 디지털스토리텔링에서 스토리의 생성과정에 나타난 상황학습
 Ⅴ. 논의와 결론
 국문요약
 참고문헌
저자
  • 김현영(한국교원대학교) | Hyeonyeong K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현진(한국교원대학교) | Hyeonjin K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