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앱 인벤터 게임 작성을 활용한 중학생의 프로그래밍 수업 및 학습 성과 분석 KCI 등재

Middle-School Programming Classes Utilizing Game Creation and the Analysis of their Educational Outcom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399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많은 나라들에서 최근 초중고생에게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일 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이 초중고생이 배우기 어렵기에, 게임 프로그래밍을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해 학생들의 수업 동기와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기존 연구들이 다수 발표되었다. 우리는 중학생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앱 인벤터 게임 작성을 활용하고 그 학습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가 수업 시간에 활용했던 앱 인벤터 게임들의 명세 및 우리의 수업 모델을 기술한다. 또한 게임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컴퓨팅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프로그래밍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중학생들의 이들 능력 및 긍정적 인식이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짝 학습인 하브루타(Havruta) 학습을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해 이것이 일반 빙식에 비해 학습 성과를 높임을 알 수 있었다.

In many countries, recently computer programming eduction has become mandatory for K-12 students. Generally since programming is difficult for K-12 students to learn, a lot of previous works have been published in which the study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creased when game programming was applied to programming classes. We investigated a research in which we used game programming in the programming classes for middle-school students, and analyzed educational effects. In this paper, we described the specification of the games and our class model that were applied in the research. Also, we analyzed changes made to computation thinking abilities, creative thinking abilities, and perceived support for programming after the programming class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ose abilities and the perceived support were increased. Additionally, we applied Havruta learning, a kind of paired learning, in the programming class, and have known that it increased the educational outcome with respect to the traditional method.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관련 연구
 3. 게임 프로그래밍을 활용한중학생 프로그래밍 수업의 설계
  3.1 수업 범위 및 절차
  3.2 우리의 프로그래밍 수업용게임의 명세 및 특징
  3.3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 방식
 4. 실 험
  4.1 실험 방법
  4.2 실험 결과 및 분석
 6.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성경(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학과) | Sungkyung Kim (Comp. Edu. Major, Education Graduate School, 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
  • 김상철(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학과) | Sangchul Kim (Comp. Edu. Major, Education Graduate School, 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