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Halobacterium Halobium의 Membrane에서 Fluoxetine의 Partial Molar Volume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Partial Molar Volume of Fluoxetine in Membrane of Holobacterium Holobi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40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Halobacterium Halobium에서 항우울제의 부분몰 부피와 몇 가지 지질의 부유물은 과량의 부피 팽창 계를 사용하여 25 ℃에서 측정되었다. 일반적인 항우울제인 Fluoxetine의 효능은 오랫동안 지질 용해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Halobacterium Halobium의 보라색 막에서 유일한 막 단백질인 소포의 변성은 280nm에서 흡수 변화에 의해 연구되었고 과도한 부피 팽창 계로 330nm에서 형광 변화를 보였다. 확산 교환에 의한 점성 중합체 용액의 1H NMR 분석은 측정을 위한 중요한 단계로,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Fluoxetine의 부분 몰 부피와 입자 크기는 양성으로 측정되었다. 항우울제는 낮은 사기와 우울증에 근거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증상을 유발하는 질병을 예방하여 일일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는 걸로 나타났다.

The partial molar volumes of an antidepressant in Halobacteriun Halobium and in suspensions of several lipids have been determined at 25 ℃ it using a excess volume dilatometer. The potency of general antidepressant, Fluoxetine has long been known to correlate with lipid solubility. Denaturations of the vesicle, which is a sole membrane protein in the purple membrane of Halobacteriun Halobium, were studied by absorption changes at 280 nm and fluorescence changes at 330 nm with excess volume dilatometer. The 1H NMR analysis of viscous polymer solutions by diffusion interchange is the important step by measurement. The partial molar volume and particle size of Fluoxetine in Halobacteriun Halobium were measured to be positive. An antidepressant can prevent diseases that produce a variety of cognitive and mental symptoms based on low morale and depression, resulting in poor daily performanc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기기 및 실험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기준(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Kim Ki-Jun Corresponding author
  • 정형학(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Jeong Hyeon-Ghak
  • 김주한(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Kim Ju-Han
  • 송희준(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Song Hui-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