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불교 관련 무형문화재 지정 현황과 과제 KCI 등재

The Status of Designat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Buddhism and Tasks for 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44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이 글은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불교의례의 발전 방안을 다룬 글이다. 특히 무형문화재 제도 속에서 불교의례의 위상을 살핀 후 나갈 방향을 찾아보았다. 먼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불교의례의 현황을 살폈다. 국가나 시도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중에서 불교 관련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다. 국가 무형문화재가 수륙재 중심이라면 시도 무형문화재는 영산재 중심이다. 따라서 시도 무형문화재로 수륙재가 추가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다비의식, 이운의식 등 다양한 불교의식도 지정될 수 있을 것이고, 보편성을 강조하고 있는 무형문화재 정책을 바탕으로 하면 널리 행해지고 있는 사십구재도 지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불교의례를 담당하고 있는 어산집단에 대한 관심을 갖자고 했다. 무형문화재 지정 기준을 살핀 결과, 지정 기준은 어산 집단의 특성에 모두 부합한다. 불교 무형유산 연구자들이 어산 집단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문화재청에 정책 제안이 가능한 부분이다. 어산의 계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과거 어산의 계보에 대한 연구뿐만이 아니라 현재 활동하고 있는 어산 계보까지 살펴야 한다. 아울러 각 지역에서 어산들이 자체적으로 모여 설립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 기관까지 포함한 조사 및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불교계 내부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그래서 불교 무형문화재 추가 지정을 위해 공동체성의 확보, 새로운 의미망 부여하기, 조직의 정비, 불교학계의 연구 확산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러한 연구의 기저에는 무형유산을 바라보는 불교계 내부의 인식 전환이 있어야 한다. 과거보다는 나아졌지만 ‘의례를 맡은 스님들에 대한 편견’, ‘불교음악 무용을 감당하고 있는 스님들에 대한 가치 폄하’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부처님께 올리는 인간의 간절한 소망을 종합예술로 표현한 불교의례의 가치를 인식하고 소중하게 여길 때, 불교 무형유산은 무형문화재 지정이나 그에 버금갈 사회적 대우를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how to develop Buddhist
rituals which people are paying keen attention to lately. Particularly,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status of Buddhist rituals in terms of the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n figured out how to
develop them. First of all, the status of Buddhist ritual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s been investigated. Among the items
designated as national or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ose related to Buddhism do not form a large part.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centered around Suryukjae while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oriented to Yeongsanjae. Therefore,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Suryukjae will be additionally designated as a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 Also, many Buddhist
rituals like Dabiuisik or Iunuisik can be designated, and grounded on
the policy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stressing universality, Sasipgujae
that is being widely performed may be designated as one of those, too.
Next, it says it is needed to pay attention to the Eosan group being in
charge of Buddhist ritu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riteria of designat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y all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osan group. This is the part where
researchers dealing with intangible heritages related to Buddhism can
suggest policy t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ased on research on
the Eosan group. Research on the genealogy of Eosan is essential.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not only the genealogy of Eosan in the past but
that of Eosan presently involved in it actively. Furthermore, it is needed
to conduct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a variety of educational institutes founded and operated by Eosan gathering voluntarily in
different regions. Above all, those concerned in Buddhism should change
their own recognition. Therefore, to designate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Buddhism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community
spirit, from a new semantic network, maintain related organizations, and
also increase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of Buddhism. On the
ground of this research, those concerned in Buddhism should change
their viewpoint about intangible heritages. It is rather better now, but
we should try to change ‘our fixed ideas about monks being in charge of
those rituals’ or ‘our underestimation over the monks being in charge of
Buddhist music or dance’. When we accept and cherish the value of
Buddhist rituals expressed as composite art containing humans’ desperate
wishes to Buddha, Buddhism intangible heritages can be socially tre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being designated as one of those or
something equivalent to that.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불교 관련 무형문화재 지정 현황 검토
 Ⅲ. 무형문화재전승주체로서어산집단에대한관심
 Ⅳ. 무형문화재 지정 확산을 위한 몇 가지 제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홍태한(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 Hong Tea-Han (Cheonbuk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