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업폐기물 열풍 건조장치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Heated-Air Drying Unit of Agricultural Was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46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2013년 국내 시설(비닐, 유리 온실)에서 재배되는 토마토, 풋고추, 파프리카의 생산량은 총 632,315톤으로 잎, 줄기 등 발생되는 폐기물은 수확량의 약 30%에 해당되는 189,695 톤으로 추정되며 대부분 노지에 방치 유실되거나 소각 처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처럼 단순 폐기되는 농업폐기물을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건조 장치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100kg/hr인 실험실용 건조기를 제작하였다. 경상남도 진주시 농업기술원 온실에서 재배되는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 가지, 고추 등의 부산물을 실험원료로 사용하였다. 원료성상, 원료이송방식, 송풍량, 건조온도, 건조시간에 따른 부산물 건조특성을 파악하였다. 원료를 비교적 짧게 절단하고 열풍이 배출되는 다공판위를 견인형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형태의 경우 건조실험 결과 세절된 원료에서 추출된 내부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어 원료들 사이의 공극을 채워 건조공기가 원료 층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특히 100℃ 이상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 원료표면에 잔류하는 유출 수분이 건조되면서 막을 형성하여 내부 원료들은 전혀 건조가 되지 못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원료내부의 공극형성 불량으로 국부적으로 공기가 통과되는 부분만 집중적으로 급격한 건조가 진행되고 공급된 건조공기 대부분이 이 부분으로 유출되어 효과적인 건조가 전혀 진행되지 못하였다. 피건조물 사이의 공극형성을 위해 원료를 절단하지 않고 수행한 건조실험 결과 송풍량 및 온도에 따라 건조속도 및 처리용량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송풍량과 압력을 증가시킨 건조 실험결과 건조 상하층 간 불균일 건조해소 및 건조속도, 건조능력에서 연구목표치인 100kg/hr, 60%/hr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건조공기온도 150℃ 이하에서도 송풍량을 증가시켜서 원하는 건조작업 수행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시설농업폐기물 같은 산물밀도가 작은 초본계 원료도 컨베이어형 원료이송 형태로 연속식 열풍건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n 2015, the production of tomato, green pepper and paprika grown in facilities is 705,506 tons. The amount of wastes derived from the whole production is estimated 189,695 ton and most of the wastes is abandoned or burned. To manufacturing of solid fuel by reuse of the wastes, the drying unit which have 100 kg/hr of drying capacity was developed and experimented. The paprika, tomato, strawberry, eggplant and green pepper grown in facilities of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and investigated of the heated-air drying characteristics as the formation of raw materials, conveying type, flow rate, drying air temperature and drying time. As the drying result of the cut materials which was conveyed by drag type, the materials were not dried at all because the drying air could not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materials which had no void. Especially, over 100℃ of drying air condition, the dried wall made of outflow water from the cut materials have prohibited from drying. By the poor formation of the void inside of the cut materials, drying process could not be carried out effectively. To improve the void formation of the materials, the uncut raw materials were used for experiments. Drying speed and drying capacity of the uncut materials were varied with flow rates and drying air temperatures. In case of increasing the flow rate and static pressure, ununiform drying between upper and bottom drying layer was solved and it showed over 100 kg/hr of drying capacity and 60%/hr of drying speed. Below 150℃ of drying air temperature, the drying capacity and speed can be accomplished by increasing the flow rate. The wastes grown in facilities with low bulk density can be dried continuously by conveyor type of material conveying in conclusion.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장치
  2 실험원료
  3 실험방법
 결과 및 고찰
  1 절단 원료의 건조 특성
  2 비절단 원료의 견인형 원료이송 형태의 건조 특성
  3 비절단 원료의 컨베이어형 원료이송 형태의 건조 특성
 References
저자
  • 송대빈(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과) | Dae-Bin Song (Dept. of Bio-Industrial Machinery Eng., Gyeongsang National Univ.) Corresponding author
  • 임기현(엔디티엔지니어링(주)) | Ki-Hyeon Lim (NDT Engineering Co., Ltd.)
  • 정대홍(엔디티엔지니어링(주)) | Dae-Hong Jung (NDT Engineeri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