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예수가정” 연구 - 그 역사와 신앙적 특징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Jesus Family” in China - Focus on its History and Theological Charact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039
  • DOIhttps://doi.org/10.22254/kchs.2018.50.0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중국의 “예수가정”은 1921년에 시작해 1952년에 해체된 농촌사회의 기독교 공동체이다. 설립자 징디엔잉(敬奠瀛, 1890-1957)은 농민출신으로 감리교 학교를 다니다가 오순절 성령운동의 영향을 받고 샨둥(山东)성 타이안(泰安)마좡(马庄)농촌마을에서 기독교 공동체를 시작했다. “예수가정”은 비록 1952년에 해체된 공동체이기는 하지만, 중국사회의 토양 위에 기독교 공동체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예수가정”은 1920년대 토착교회의 흐름에 잘 적응해 농촌사회에서 기독교 공동체의 모습을 발전시켜 나갔다. 전쟁과 자연재해의 황폐함 속에서 사람들에게 피난처로서의 안식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런 외부적인 환경은 “예수가정”이 발전할 수 있는 원인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예수가정”이 유지하려는 정신적 유산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예수가정”은 경제적으로 전 재산의 기부를 통해 사유재산을 없애고 공유재산과 평균주의 원칙을 실시했다. 그리고 이런 경제적 요인에 따라 전통적 혈연중심의 가정을 해체하고 집단거주에 의한 “예수가정”만의 새로운 비혈연중심의 가정제도를 만들어 갔다. “예수가정”은 또한 가장제를 통해 그 질서를 세워나갔는데, 이것은 동아시아 문화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예수가정”은 성령운동의 영향을 받은 공동체로 성령충만을 강조했으며 금욕주의적 삶을 생활 속에 실천했다. 특별히 농촌문화를 적극적으로 기독교적 관점에서 수용해 기독교 공동체의 문화로 만드는 모습을 보여줬다. 신비주의적인 영적 특성뿐만 아니라 찬송가 등이 이런 영향 하에서 만들어졌다. 농촌사회에 적응하려는 모습으로 서구인에 의해 이식된 기독교가 아니라 중국인 스스로에 의한 기독교 공동체 건설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예수가정”연구를 통해 우리는 피안의 세계를 지향하는 종교와 차안의 현실세계가 어떻게 결합해 나가며 더욱이 외래종교로서 기독교가 중국인의 삶 속에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를 이들 “예수가정”의 공동체의 생활 속에서 그 의의를 발견한다.

耶稣家庭是于1921年成立到1952年被解散的基督教农村共同体。耶稣 家庭的创始人敬奠瀛(1890-1957)为农民出身, 进入美国美以美会所办的 萃英中学。那时他受到五旬节运动的影响, 在山东泰安马庄开办了基督教 团体---耶稣家庭。虽然耶稣家庭是被解散的基督教团体, 但能够告诉我们 基督教如何扎根于中国社会的土壤。 耶稣家庭恰好适应1920年当时的本土教会时流, 在农村社会中建立起基 督教团体。当时中国社会经过战争和自然灾害, 老百姓在困境中徘徊。耶 稣家庭给他们提供战争中的避难所。这样的情况是耶稣家庭所能发展的原 因, 而且赐给耶稣家庭所能形成的精神上的机会。
耶稣家庭坚持公有财产 和平均主义的原则, 所以需要捐献所有私人财产。这种经济行为会解体以 血缘为纽带的家庭观念, 也就是首先否定世俗家庭的存在。实行非血缘家 庭制度, 通过家长制度设立秩序, 这就是以耶稣为纽带的新家庭观念, 也是 东亚文化的倒影。耶稣家庭强调受圣灵运动影响的圣灵充满, 在这种灵性 方面的特性下实行禁欲主义的生活方式。适应于农村社会的形式来看, 基 督教不只是为了植入西方人社会, 中国人也可以建设属于自己的基督教共 同体。通过研究基督家庭, 让我们更加了解指向彼岸世界的同时, 帮助我们现实所处的世界的融合。特别是外来宗教基督教怎样融入到中国人生活 中, 是基督家庭共同体的意义所在。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예수가정”의 발생 배경
 Ⅲ. 징디엔잉과 “예수가정”의 출발
 Ⅳ. “예수가정”의 발전
 Ⅴ. “예수가정”의 신학적 특징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
  • 설충수(숭실대학교) | Seol choongsoo (Soongsi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