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장로교회 동사목사 직제의 기원과 변화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Origin and Changes of the Co-Pastor Title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044
  • DOIhttps://doi.org/10.22254/kchs.2018.50.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이 논문은 한국장로교회 동사목사의 기원과 제도적 확립 및 확장과정, 폐지에 이르는 역사적인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동사목사라는 직제는 미국장로교회의 영향으로 1909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제3회 노회에서 8명의 한국인 목사를 선교사와 함께 일하는 동사목사로 임명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이 직제는 제도적 확립과 확장 과정을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되어 1914년 제3회 총회에서 목사를 위임목사, 임시목사, 위임동사목사, 임시동사목사로 구분했으며, 1917년 제6회 총회에서는 목사를 칭호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하고, 1929년 제18회 총회에서 헌법 중 정치 제4장 4조에 목사칭호 조항을 추가함으로서 동사목사의 제도적 확립을 완결했다. 목회 현장에서는 선교사와 한국인 동사목사 뿐만 아니라 1920년대를 전후해서는 한국인 위임목사와 한국인 동사목사가 함께 목회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이후에는 한국인 위임목사와 위임동사목사, 한국인 위임목사와 임시동사목사가 목회하는 형태로 세분화 되었다.
동사목사 직제는 한국장로교회 안에서 공동목회를 통한 협동적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했는데, 이와 같은 직제가 해방 이후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면서 지속된 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영락교회에서 한경직과 강신명이 위임목사와 동사목사로 공동목회를 한 경우다.
그러나 동사목사 직제는 1955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제40회 총회에서 부목사 직제를 신설하면서 폐지되었다. 이런 결정은 동사목사 직제의 역사적 공헌을 간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결국 동사목사의 폐지와 부목사의 신설은 공동목회를 통한 협동적 지도력 대신에 위임목사 중심의 단일지도체제로의 변화를 가속화시키는 전환점이 되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process of co-pastors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ts origin, institutional establishment, expansion, and abolition.
The position of co-pastors was created by the appointment of eight Korean pastors as co-pastors to work with missionaries at the third presbyte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in 1909 under the influence of the American Presbyterian Church. Since then, the position underwent continuous expansion in its implementation through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establishment and expansion. At the third general meeting held in 1914, pastors were categorized into installed pastors, interim pastors, installed co-pastors, and interim co-pastors. At the sixth general meeting held in 1917, pastors were distinguished by various titles. At the 18th general meeting held in 1929, the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co-pastors was completed by the provisions about the titles of pastors to Article 4 of Chapter 4 under Politics in the constitution.
In the field of ministry, it developed in the form of joint ministry with Korean installed pastors and co-pastors as well as missionaries and Korean co-pastors in the 1920s. Since then, it was further divided into the forms of joint ministry between Korean installed pastors and installed co-pastors and joint ministry between Korean installed pastors and interim co-pastors.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e title of co-pastors worked to enable collaborative leadership through joint ministry. The joint ministry between Han Kyung-jik and Kang Shin-myeong at the Youngnak Church as installed pastor and co-pastor is a case showing that the title continued to play positive roles even after Liberation.
The title of co-pastors was, however, abolished after the introduction of a new title called assistant pastors at the 40th general meeting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in 1955. This decision neglected the historical contribution made by the title of co-pastors.
The abolition of co-pastors and the introduction of assistant pastors presented a turning point to accelerate the change toward an installed pastor-centric single leadership system instead of collaborative leadership through joint ministr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동사목사 직제의 기원
  1. 미국장로교회의 영향
  2. 동사목사 직제의 시작
 Ⅲ. 동사목사 직제의 정착과 변화
  1. 제도적 확립과 확장과정
  2. 동사목사 직제의 폐지와 변화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
  • 김일환(서울장신대학교) | Kim il-hwan (Seoul Jangsi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