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방 후 통일담론의 발전과 기독교의 역할: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의 배경과 의의 KCI 등재

Development of the Unification Discussions after Liberation and the Roles of Christianity: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Bongam Cho's Discourse for Peaceful Unif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047
  • DOIhttps://doi.org/10.22254/kchs.2018.50.1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본 논문은 해방 후 남한의 정치·경제·사회적인 시대상황에 따라, 다양한 통일론에 대한 조사와 개관 그리고 평가를 그 내용으로 하며, 그 가운데서 기독교인들의 참여를 추적한다. 특히 죽산 조봉암을 중심으로 한 평화통일론의 배경과 의의를 살피고 있다. 한국 기독교는 대체로 38선 철폐운동, 미군철수반대운동, 그리고 한국전쟁 중에 휴전반대운동과 북진통일론을 전개하여 왔다. 이러한 통일론은 한국사회의 전쟁경험으로 인한 것이었지만, 이로 인해 이승만의 독재를 용인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한편 기독교에는 또 다른 통일담론 즉 평화통일론의 흐름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조봉암이라는 인물이 있었다. 시기적으로 너무 앞서고, 아직은 무르익지 않은 섣부름도 있었지만, 그가 간첩으로 오인 받고, 목숨을 잃으면서까지 소리높인 평화통일이라는 구호는 이후 진보적인 기독교인들과 정치인들의 목소리로 발전하였다.
해방 후 기독교가 남한에서의 통일담론 발전에 있어서 다양한 구조와 논의를 전개하였고, 그 결과 일정한 사회 통합의 역할을 하였음을 밝히기 위하여 본 논문은 각 종 신문과 전기 및 선언서 등을 참조할 것이다. 아울러 신학적인 입장이 아니라, 교회의 사회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살피는 종교사회학의 방법을 차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대 한국사회에서 기독교의 역할을 특별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남·북한의 평화노력에 대한 그 근원적이고 역사적인 배경을 찾는 과정이다. 아무쪼록 "서로를 이해하는 노력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잘못되었을 때의 폐해는 무엇인지? 아울러 어떻게 그 노력을 성취할지?"를 묻는 첫 걸음이 되었으면 한다.

This paper traces the participation of Christians in the context of the investigation, overview and evaluation of various theories of unification according to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ircumstances of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discourse of the peaceful unification, centering on Jooksan Bongam Cho. Korean Christianity has generally carried out the Abolishment Movement of the 38 Line, the Opposition Movement of the US Military Withdrawal, and the Anti-truce Movement and the Discourse of Military Unification during the Korean War. These Discourses were due to the war experience of the Korean society, but this resulted in the acceptance of Syngman Rhee's dictatorship. On the other hand, in Christianity there has been another unification discourse, the flow of peaceful unification theory. The slogan of peaceful unification, which has risen sharply until the time when Bongam Cho was fabricated as a cummunist spy and lost his life, and has been developed into a voice of progressive Christians and politicians, though there was a period of premature, far-reaching,
After the Liberation, Korean Christians developed various structures and discussions of unification discourse. As a result, this paper could refer to various newspapers, biographies and declarations. This paper would borrow a method of religious sociology by focusing on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church, not the theological position. Through this, the role of Korean Christianity in the period of 1945-1960 can be uniquely revealed.
In conclusion, this paper can find the root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eace efforts of South and North Korea. Hopefully, this will be the first step in asking “why do we need to understand each other, what are the obstacles when we are wrong, and how to accomplish those efforts?”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전쟁과 남한교회의 대응
  1. 한국전쟁 전 교회의 통일 노력
  2. 한국전쟁
  3. 한국전쟁과 남한교회의 변화
 Ⅲ. 휴전반대운동과 북진통일론
  1. 휴전반대의 논리와 추이
 Ⅳ. 평화통일론의 대두: 죽산 조봉암의 성장과 역할
  1. 조봉암(1899년-1959년)과 기독교
  2. 조봉암과 공산주의
  3. 조봉암의 평화통일론과 그 의의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
  • 박창훈(서울신학대학교) | Park Changhoon (Seoul Theologic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