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가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구현 방안 : 교실 수업으로의 실행과 내러티브에 초점을 두고 KCI 등재

Practicing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rom standard to actual classroom pract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055
  • DOIhttps://doi.org/10.25051/jner0602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Narrative Education)
초록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 성취기준이 교실 수업으로 실행되기 위한 실효적인 방안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이론적 측면 및 실천적인 측면에서의 현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현재의 국가 성취기준을 좀 더 학년별, 교과별로 수직적, 수평적 정합성을 갖추도록 체계화시켜 개발하여 현장에서 재구성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하향식 설계를 제안하였다. 교과 수준에서 보면 성취기준들을 보다 의미 식별이 가능하게 좀 더 명확하게 진술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각 시·도교육청 지침이나 장학자료에서 실행 가능한 기준을 설정해 볼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다양하고 차별화된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교(교사)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개발할 때 안내 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실행 계획은 교육과정 연구회나 학습공동체 등을 통하여 집단적이고 전문적인 협의의 과정을 거쳐 수립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창의적이고 자발적으로 수업에 적용할 때 국가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현장에서 구현될 가능성이 지금보다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measure to apply the standards of national curriculum into the actual classroom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both in the theoretical and in the practical aspects, and suggests the practical measures of applying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should be structured to have a more vertical and horizontal consistency in each grade and subject, and should be supported so that reconstruction should not be difficult in the actual classroom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p-down curriculum design first. In the subject level, it is also necessary to state standards more clearly and accurately to enable more meaningful identification. And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applicable standards could be set in the Standards Guidelines or any booklet for supervision developed by each regional education office. It can serve as a guide when developing the school(teacher) curriculum standards by presenting specific and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region. Finally, the Enact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ollective and professional consultation process such as curriculum study groups or learning communities. It is anticipated that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on the actual classroom practice will be higher than it is now when they are applied to classrooms creatively and voluntarily.

목차
Abstract
 요약
 Ⅰ. 문제 의식
 Ⅱ. 논의의 배경
  1. 성취기준의 의미
  2. 국내·외 사례
  3. 선행 연구 분석
 Ⅲ. 국가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현 실태와 문제점
  1. 이론적인 측면
  2. 적용적인 측면
 Ⅳ.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한 가지 실천 방안
  1. 하향식 설계: 수직적 표현
  2. 실행 가능한 기준 설정: 수평적 표현
  3. 실행 계획: 수업 및 평가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지현(Daegu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 Jee-Hyeon Park
  • 강현석(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Hyeon-Suk 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