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문대생의 진로성숙이 직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Career maturity of vocational college students affects job preferencee - Focused on Recovery Elasticity Effect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0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생의 진로성숙이 직업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진로성숙도는 직업선호도(r=.597), 회복탄력성(r=.581)과 정(+)적 상관관계(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성숙도가 직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진로성숙도 중 결정성이 직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셋째, 진로성숙도 중 타협성이 직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즉 진로성숙에 따라 직업을 결정할 때 회복탄력성 중 대인관계능력이 타협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에서 진로상담에서 회복탄력성을 고려하여 진로 및 상담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진로상담에서 단순히 직업선호도 검사만으로 진로를 결정하지 말고 직업을 잘 결정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회복탄력성 검사를 통하여 진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study of career maturity of vocational college students on job prefer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matur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p <.01) with job preference (r = .597) and resilience (r = .581). Second,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n job preference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in the effects of determinism on job preference. Third, resilience is statistically influenced by the degree of compromise in job maturity. In other words, the interpersonal abilities of resilience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compromise when determining care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career and counseling in consideration of resilience in career counseling at university. In career counseling,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who do not decide career by merely examining career preference and who can not decide job well, to decide career path through resilience test.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성숙
  2. 직업선호도
  3. 회복탄력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측정도구 및 설문지 구성
 Ⅳ. 연구결과의 해석
  1.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2. 자기조절능력 매개효과 검증
  3. 대인관계능력 매개효과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상주(오산대학교 실용사회복지학과) | Sang Joo Lee (Osan University, Professor of social 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