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에서 마취제에 의한 분광학적 측정 KCI 등재

Measurement of Photospetroscpopies by Anesthetics in Purple Membrane and Red Membra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3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전신마취제의 잉여 몰부피는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추출분리된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에서 vesicle의 현탁액에서 25℃ 잉여부피 dilatometer로 측정되었다. 우리의 연구에 의해 전신마취제인 Propofol은 잉여몰부피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혔다.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추출 분리된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의 잉여몰 부피는 vesicle의 아미노산과 지질의 영향이다. 이들은 잉여 몰부피 dilatometer로 잉여 몰 부피를 측정되었으며, 흡광세기는 280nm 330 nm 에서 연구되었다.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이 Propofol에 의한 입자크기 분석, 상대적 혼탁도가 기계적 특성을 위해 연구되었다. 확산 교환에 의한 점성 중합체 용액의 입자 크기 분석은 측정에 의한 중요한 단계이다. Propofol이 vesicle에서 재구성된 시료들 중에서, 특히 PM+RM+Propofol의 잉여 몰 부피가 PM, RM의 잉여 몰 부피보다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The excess molar volumes of a general anesthetics on Purple membrane and Red membrane separated by extraction in Halobacteriun Halobium and in suspensions of vesicle have been determined at 25 ℃, it was used a excess volume dilatometer. The anesthesia characteristics of general anesthetics, Propofol was fined by our study to correlate with excess molar volume. Excess volume changes of the vesicle measured by excess volume dilatometer, which is an important amino acid and lipid in the purple membrane and red membrane by means of specific weight in Halobacteriun Halobium, were studied by absorption intensity at 280 nm and 330 nm. The particle size analysis and relative turbidity of Purple membrane and Red membrane by means of Propofol were measured for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samples where Propofol is incoporated in vesicle, especially, the excess molar volume of PM + RM + Propofol is the greatest than the excess molar volumes of PM, and RM.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기기 및 실험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기준(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Kim Ki-Jun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정형학(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Jeong Hyeon-ghak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김주한(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Kim Juhan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송희준(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Song Hui-jun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